만들어진 자료, 『묵암비망록』 비판

최우석 2022년
논문상세정보
' 만들어진 자료, 『묵암비망록』 비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ang Hyo-guen’s Diary
  • History distortion
  • Lee Hyun-hee
  • Lee Jong-il
  • Muk-am Memorandum
  • declarationofindependence
  • 묵암비망록
  • 역사 왜곡
  • 이종일
  • 이현희
  • 자주독립선언서
  • 장효근일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0 0

0.0%

' 만들어진 자료, 『묵암비망록』 비판' 의 참고문헌

  • 황성신문연구
    이광린 [1986]
  • 한용운 판결문
  •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특별판 2
  •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특별판 1
  • 한국근대사와 동학
    이현희 [1996]
  • 타오르는 별 : 유관순의 일생
    박화성 [1972]
  • 중앙일보
  • 제국신문연구
    최기영 [1989]
  • 제국신문과 근대: 매체·담론·감성
    문일웅 [2014]
  • 제2독립선언서의 역사적 의의: 「자주독립선언문」의 분석
    이현희 [1979]
  • 전인적인 독립운동가, 한용운
    김광식 [2015]
  • 장효근일기
  • 장효근일기
    이현희 [1977]
  • 자주독립선언서
  • 일요신문
  • 일본신문 한국독립운동기사집 (Ⅰ): 3·1운동편(1) 大阪朝日新聞
    윤소영 [2009]
  • 이현희본 『張孝根日記』 비판 -1916년~1920년을 중심으로-
    정욱재 [2021]
  • 이종일 생애와 민족운동
    박걸순 [1997]
  • 의암 손병희성사와 천도교의 3.1운동
    이현희 [2006]
  • 옥파이종일선생논설집 제3집
    이종일 [1984]
  • 옥파이종일선생논설집 제1집
    이종일 [1984]
  • 역사적으로 본 3·1운동
    이현희 [1979]
  • 서울을 中心으로 한 開化運動(3).1900年代의 開化運動과 그 實態
    이현희 [1984]
  • 서울을 中心으로 한 開化運動 (2): 1890年代 이후의 開化運動
    이현희 [1981]
  • 별건곤
  • 백암박은식전집 제2권 : 韓國獨立運動之血史
    박은식 [2002]
  • 민중에게 다가간 독립운동가 이종일
    성주현 [2017]
  • 민족운동과 천도교
    이현희 [1980]
  •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인 이종일의 상징화 사례 연구 -「묵암비망록」, 데마고기, 상징화 주체와 전략의 변화-
    심형준 [2018]
  • 묵암 이종일선생 비망록 해제
    이현희 [1978]
  • 매일신보
  • 만세열전
    조한성 [2019]
  • 동학사상의 배경과 그 의식의 성장
    이현희 [1981]
  • 동학사상과 민족독립사상
    이현희 [1982]
  • 동아일보
  • 독립의군부의 지도자 임병찬
    홍영기 [2016]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계획과 천도교
    이현희 [1985]
  • 김창식 등 판결문
  • 국역 윤치호 영문 일기 7
    윤치호 [2015]
  • 경향신문
  • 개화기의 인물과 그 사상: 묵암비망록을 중심으로
    이현희 [1980]
  • 韓國近代史와 民衆意識
    이현희 [1981]
  • 韓國女性의 抗日鬪爭과 日帝의 彈壓考: 3·1운동시의 여성항쟁을 중심으로
    이현희 [1980]
  • 續陰晴史, 上
    김윤식 [1960]
  • 第2獨立宣言書의 史的 意味: 獨立宣言文의 民族史的 分析
    이현희 [1981]
  • 白巖 朴殷植의 平和思想硏究
    이현희 [1980]
  • 漢城臨時政府의 樹立과 民族運動
    이현희 [1991]
  • 水余成耆悅博士 還甲記念論叢
    남광우 [1989]
  • 民衆의 思想과 行動
    이현희 [1979]
  • 朴殷植의 平和思想
    이현희 [1980]
  • 新資料解題 黙菴備忘錄
    이현희 [1978]
  • 大韓民國 臨時政府史
    이현희 [1982]
  • 三·一獨立 運動에 關한 硏究: 特히 그 背景과 民衆聯合過程을 中心으로
    이현희 [1979]
  • 『조선일보』
  • 「3․1독립선언서」의 서지적 연구
    오용섭 [2017]
  • ≪뎨국신문≫초기 논설에 나타난 ‘학문’의 성격과 ‘동양’ 사유방식
    이경현 [2005]
  •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쵠마선 소작설과 관련하여
    고영근 [2003]
  • ‘한글’ 命名者와 史料 檢證의 問題-고영근(2003)에 답함-
    任洪彬 [2007]
  • 6·10만세운동
    장석흥 [2009]
  • 3・1운동, 그 기억의 탄생-『한일관계사료집』, 『한국독립운동지혈사』,『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을 중심으로-
    최우석 [2018]
  • 3․1독립선언서 인쇄과정과 판본의 검토
    박찬승 [2020]
  • 3·1운동사론
    이현희 [1979]
  •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장석만 [2009]
  • 1919 :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
    박찬승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