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동원』을 통해 살펴본 전시체제기 ‘국민’ 형성 기획의 특징과 성격

황선미 2022년
' 『총동원』을 통해 살펴본 전시체제기 ‘국민’ 형성 기획의 특징과 성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eneral Mobilization
  • Korean Federation for Tot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 Mental mobilization
  • patrioticneighborhoodassociations
  • sino -japanese war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애국반
  • 정신동원
  • 중일전쟁
  • 총동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8 0

0.0%

' 『총동원』을 통해 살펴본 전시체제기 ‘국민’ 형성 기획의 특징과 성격' 의 참고문헌

  • 총동원체제하 생활개선캠페인과 조선인의 일상 식민도시 인천의 사회적 공간성과 관련하여
    오미일 [2011]
  • 조선총독부의 영화검열정책과 '조선영화'의 상관성
    최성희 [2007]
  • 조선총독부의 라디오 정책
    박순애 [2005]
  •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37~1945) 형성 정책
  • 조선총독부 학무국 운영과 식민지교육의 성격
    이명화 [2007]
  • 전시체제기(1937~1945년) 조선총독부의 불경죄 처벌과 운용
    조소연 [2017]
  • 전시체제기(1937~1945) 생활필수품 배급통제 연구
    허영란 [2000]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김미정 [2015]
  • 전시체제기 鹽原時三郞의 황민화정책 구상과 추진(1937~1941)
    임이랑 [2013]
  • 잡지 총동원의 문예면의 기능과 대중화 전략
    전은경 [2010]
  •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방기중 [2005]
  •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경제
    이송순 [2008]
  • 일제말기 동근동조론(同根同祖論)의 대두와 내선일체론의 균열
    장신 [2014]
  • 일제강점기 농촌통제정책 연구
    김영희 [2003]
  • 일제 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방기중 [2004]
  •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최유리 [1997]
  • 일본제국의회 시정방침 연설집
    이규수 [2012]
  • 윤치호일기
  •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전개 형태와 그 침투
    金英喜 [2002]
  •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실시와 조직
    김영희 [2002]
  • 總動員
  • 每日申報/
  • 朝鮮總督府時局對策調査會諮問答申安試案
  • 朝鮮總督府官報
  • 朝鮮總督府 學務局의 機構變遷과 機能
    이명화 [1992]
  • 朝鮮功勞者銘鑑
    阿部薰 [1935]
  • 朝鮮に於ける國民精神總動員
  • 朝鮮に於ける 國民總力運動史
  • 時局特報 第43号
  • 國民總力
  • 國民精神總動員聯盟要覽
  • 國民精神総動員中央聯盟事業概要 昭和12年度
  • 半島ノ國民總力運動
  • 世界情勢の推移に伴ふ時局処理要綱
  • 《東亞日報》
  • 《朝鮮日報》
  • “愛國班と隣組”(애국반과 토나리구미) :1940년대 조선 총독부의 전시 제국주의와 호칭의 정치학
    권신영 [2014]
  • ‘창씨개명’과 『총동원』의 모성담론의 전략
    전은경 [2008]
  • Nation-empire : ideology and rural youth mobilization in Japan and its colonies
  • 1910~20년대 ‘내선융화’ 선전의 의미―일본인과 부락민·조선인 ‘융화’의 비교
    이정선 [2020]
  • "한국 사상통제기제의 역사적 형성과 보도연맹 사건, 1925-50"
    강성현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