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논문상세정보
    • 저자 편지윤
    • 제어번호 107987275
    • 학술지명 새국어교육
    • 권호사항 Vol. - No. 129 [ 2021 ]
    • 발행처 한국국어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mjkor.cafe24.com/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48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21
    • 등재정보 KCI등재
    • 판매처
    유사주제 논문( 0)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의 참고문헌

  •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이경화 [2019]
  • 학문과 교육
    장상호 [1997]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의 의미와 중등교육에의 시사점
    김영란 [2021]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이용준 [2021]
  • 표현교육에서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
    염은열 [1999]
  • 지식 통합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의 교육과정적 함의
    이경진 [2018]
  • 지식 탐구의 도구로서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고찰- CCSS 범교과 문식성 영역을 중심으로 -
    유상희 [2017]
  • 지식 중심의 국어교육 내용 범주 설정 시론
    박종훈 [2005]
  • 지식 生成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허경철 [2001]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최상훈 [2007]
  • 역사 및 물리 교사의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를 통한 학문 문식성 개념의 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김종윤 [2018]
  •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
  • 문학사교육에서의 지식의 문제
    김정우 [1999]
  • 말하기 듣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고찰
    민병곤 [2006]
  • 독・토・론 모형을 활용한 과학 수업의가능성 탐색-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의 현장 연구
    김영란 [2018]
  • 내용 영역 문식력의 특징과 지도 방향
    김명순 [2007]
  • 국어교육의 새로운 내용론 - 학습의 본질 구현을 위한 초학문 융합 패러다임 설계 -
    주세형 [2021]
  •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지식의 소환을 위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담론
    심성보 [2020]
  • 교과독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문학, 역사, 과학, 수학을 중심으로
    천경록 [2018]
  • 과학의 언어-이론 구성과 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신선경 [2009]
  • 과학과 언어(국어)의 통합적 교수·학습을 위한 ‘讀·討·論’ 모형화 연구: 학문 문식성 개념을 기초로 하여
    김영란 [2016]
  • 과학 교실에서 언어와 문식력
  •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강선주 [2013]
  • 「읽기 교육에서 지식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명순 [2003]
  • Why content literacy is difficult to infuse into the secondary school : Complexities of curriculum, pedagogy, and school culture
  • What is disciplinary literacy and why does it matter?
  • Voices of the mind :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ediated action
  • The future of education in a knowledge society : The radical case for a subject-based curriculum
    Young, M. [2010]
  •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to adolescents : Rethinking content-area literacy
  • Rounding up unusual suspects: Facing the authority hidden in history textbooks and teachers
    Bain, R. [2006]
  • Reviewing the case for geography, and the ‘knowledge turn’ in the English national curriculum
    Lambert, D. [2011]
  • Reading in the disciplines: The challenges of adolescent literacy
    Lee, C. D [2010]
  • OECD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KNOWLEDGE FOR 2030
  • Knowledge, power and powerful knowledge re-visited
    Muller, J. [2019]
  • Knowledge, Values and Educational Policy
    Young, M. [2009]
  • Knowledge and the Future School: Curriculum and Social Justice
    Young, M. [2014]
  • Historical problem solving: A study of the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evaluation of documentary and pictorial evidence
  • From Social Constructivism to Social Realism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Young, M. [2008]
  • Foregrounding the disciplines in secondary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 A call for change
    Moje, E. B. [2008]
  • Doing and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with adolescent learners : A social and cultural enterprise
    Moje, E. B. [2015]
  • Does Disciplinary Literacy Have A Place in Elementary School?
  • Disciplinary literacies and learning to read for understanding : A conceptual framework for disciplinary literacy
  • Disciplinary literacies across content areas : Supporting secondary reading through functional language analysis
    Fang, Z [2010]
  • Disciplinary Literacy-Adapt not Adopt
    Gillis, V. [2014]
  • Analysis of expert readers in three disciplines : History, mathematics, and chemistry
  •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전영주 [2019]
  • 21세기 문식성 계발을 위한 내용문식성과 읽기 과제 모형 탐색
    박수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