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도』의 여성주의적 독해 — 여성 목소리의 시작점과 합류점을 찾아서

논문상세정보
    • 저자 장은애
    • 제어번호 107980365
    • 학술지명 여성문학연구
    • 권호사항 Vol. 54 No. - [ 2021 ]
    • 발행처 한국여성문학학회
    • 발행처 URL http://feministcriticism.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42-283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21
    • 등재정보 KCI등재
    • 판매처
    유사주제 논문( 0)

' 『화산도』의 여성주의적 독해 — 여성 목소리의 시작점과 합류점을 찾아서' 의 참고문헌

  • 화산도
    김석범 [2015]
  •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
    박필현 [2015]
  • 탈식민 냉전 속 동아시아 하위주체의 ‘4⋅3증언서사’
    고명철 [2021]
  •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젠더 연구
    권귀숙 [2014]
  • 제주4.3에 대한 여성의 기억서사와 ‘순경 각시’
    박상란 [2019]
  • 제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4·3의 상대적 진실:김인근과 현신봉의생애담을 중심으로
    박경열 [2009]
  • 제주 4·3, 동아시아 여성과 소수자 인권 그리고 평화
    염미경 [2017]
  •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 대량학살 시기(1948년 10월 중순-1949년 5월 중순)를 중심으로
    강성현 [2002]
  • 전쟁과 여성
    김현아 [2004]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 왜 계속 써왔는가 왜 침묵해 왔는가
    김석범 [2007]
  • 성관계는 없다
  •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 살아남았기에 더 고통스러웠던 4.3 제주여성
  •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김석범 [1999]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김성례 [1999]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인권
    오금숙 [1999]
  • 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제(諸)문제
  • 끝나지 않은 애도: 4·3사건 피해여성은 말할 수 있는가
    정원옥 [2016]
  • 김석범『화산도(火山島)』의 여성 인물 연구
    임성택 [2019]
  • 기조강연: ‘제주4·3사건’ 진행 시 제주여성사회의 수난과 극복 사례
    한림화 [2018]
  • 기억의 정치
    권귀숙 [2006]
  • 기억의 재구성 과정-후체험 세대의 4‧3-
    권귀숙 [2004]
  • 국가폭력의 성정치학: 제주 4·3학살을 중심으로
    김성례 [2001]
  • 국가폭력과 여성: 죽음 정치의 장으로서의 4·3
    김은실 [2018]
  • 가부장제의 창조
  • 「김석범의 ‘4.3소설’연구 - 작중 인물의 유형을 중심으로」
    임성택 [2017]
  • 4·3의 이 깊은 기억, 아무도 모릅니다—허영선 시인이 만난 제주4·3피해 생존 여성들 여성들의 파괴된 삶이 증명하는 참혹한 역사
  • 4·3은 말한다 1
  • 4·3과 여성, 그 살아낸 날들의 기록
  • 4·3과 여성 2, 그 세월도 이기고 살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