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과 해빙의 시대 재일코리안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재일코리안 잡지 청구(青丘)의 기사를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영호
    • 제어번호 107937363
    • 학술지명 디아스포라 연구
    • 권호사항 Vol. 15 No. 2 [ 2021 ]
    • 발행처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46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21
    • 등재정보 KCI등재
    • 판매처
    유사주제 논문( 0)

' 냉전과 해빙의 시대 재일코리안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재일코리안 잡지 청구(青丘)의 기사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재일한인 잡지의 변화의 양상과 『청구』의 역할
    나승회 [2007]
  •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삼천리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한정 [2021]
  • 재일동포 연도별 인구추이
  • 재일 한인 잡지 소재 시문학과 비평문학의 현황과 의미 - 조선문예, 한양, 삼천리, 청구를 중심으로
    하상일 [2006]
  • 일본의 전후(戰後)보상문제의 현 단계
    高木健 [1998]
  • 영주귀국 사할린동포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운 [2015]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한국어 교사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 [2016]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통과의례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박봉수 [2016]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생활환경과 정책적 욕구
    임채완 [2015]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귀환 이후 삶과 적응과정에 대한 분석 -부산 정관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 [2016]
  • 에스닉미디어에 나타나는 자기정체성의 전개 ―季刊誌三千里靑丘를 중심으로 한 재일한인의 민족적 성격의 변화
    김태영 [2007]
  • 사할린귀환 시설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집단원예치료 효과
    김경숙 [2012]
  • 사할린 한인의 영주귀국과 새로운 경계의 형성과정
    임성숙 [2021]
  • 사할린 한인 김옥자의 삶과 디아스포라 생활사- ‘기억의 환기’를 통한 구술생애사 방법을 중심으로 -
    박경용 [2013]
  • 사할린 영주귀국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의미
    박봉수 [2016]
  •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안미정 [2014]
  • 법률용어에 대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의 인식과어려움 해결방안
    손영화 [2016]
  • 김 아파나시 아르세녜비치
  • 국어와 일본어의 틈새, 재일 한인 문학의 자리 - 漢陽, 三千里, 靑丘의 이중 언어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
    이재봉 [2007]
  • 구소련권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전개양상 : 『선봉』/『레닌기치』/『고려일보』를 중심으로
    김환기 [2020]
  • 고려인 인구 이동과 경제환경
    남혜경 [2005]
  • 高木健一 『サハリンと日本の戦後責任』
  • 韓国と中国、ソ連の経済交流
    金京鎬 [1991]
  • 自著を語る『日清・日露戦争』
  • 極東からの朝鮮人強制移住
  • 朴亨柱・民涛社編集『サハリンからのレポート』
  • 旧ソ連邦の朝鮮人は今
  • 旧ソ連中央アジアの朝鮮人社会 : カザフスタンでの国際ワークショップから
    劉孝鐘 [1994]
  • 旧ソ連で出会った朝鮮人
  • 在日韓人 雜誌에 나타나는 言語生活의 樣相
    趙 堈 熙 [2006]
  • 在ソ朝鮮人は今∶キム・ゲルマン氏にきく
  • 創刊のことば
    編集部 [1989]
  • ヴラジヴォストーク瞥見∶強制追放された朝鮮人が帰ってきた
    志賀勝 [1994]
  • ロシア領極東の朝鮮人 1863-1937
  • ソウル・オリンピック後のソ連
    小島敦 [1990]
  • サハリン残留朝鮮人のいま∶一九九三~九四年夏
  • カザフスタンの高麗人たち
    高松茂 [1994]
  • 『靑丘』와 재일코리안의 자기정체성 -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
    김환기 [2014]
  • 『悲しみの島サハリン』を書き終えて
  • 『季刊三千里』·『季刊青丘』に関する一考察 -在日社会のコミュニケテイ形成について-
    신종대 [2013]
  •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