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경하 2021년
논문상세정보
'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ti-Intellectual
  • Anti-Intellectualism
  • The Centre of Intellect
  • Women’s Literature
  • feminism
  • 반지성주의
  • 반지식인
  • 여성문학
  • 여성주의
  • 지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57 0

0.0%

' 여성문학과 반지성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의 참고문헌

  • 혐오담론에 대응하는 여성주의 전략의 재검토
    김선희 [2018]
  • 현대일본의 ‘반지성주의’ 담론 분석
    남상욱 [2019]
  • 한국문학사논고
    김윤식 [1973]
  • 한국무속의 종합적 고찰
    최길성 [1982]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이경하 [2014]
  • 한국"포퓰리즘"담론의 철학적 검토
    홍윤기 [2006]
  • 타락한 저항: 지배하는 ‘피해자’들, 우리 안의 반지성주의
    이라영 [2019]
  • 최초의 여성문학 평론가 임순득론 : 특히 그의 페미니즘 문학비평을 중심으로
    서정자 [1990]
  • 지성사란 무엇인가?
  •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이경하 [2010]
  • 조지 월리스의 부활 - 트럼프 현상의 연속성과 새로움
    안병진 [2016]
  • 조선후기 여성소설과 남성소설의 비교 연구- <옥원재합기연>과 <옥린몽>을 중심으로
    정병설 [2002]
  • 조선조여류문학연구
    김용숙 [1990]
  • 조선조 후기 여성 지성사
    이혜순 [2007]
  • 조선시대 규훈서(閨訓書)와 여성의 문자문화
    이지영 [2012]
  • 이조의 여류문학
    김용숙 [1975]
  • 왜 대중은 반지성주의에 매료되는가?: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반지성주의
    강준만 [2019]
  • 여성주의 연구의 도전과 과제 : 각 학문영역에서 이뤄온 여성 연구의 과거ㆍ현재ㆍ미래
  • 여성 혐오(misogyny) 이후의 여성주의(feminism)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hybrid) 주체성
    김은주 [2016]
  • 사주당 이씨의 삶과 학문
    심경호 [2009]
  •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우리는 왜 퇴행하고 있는가
  • 바리데기
    이경하 [2019]
  • 문명의식과 실학 : 한국 지성사를 읽다
    임형택 [2009]
  • 무당, 여성, 신령들: 1970년대 한국 여성의 의례적 실천
  • 나혜석의 처녀작 「夫婦」에 대하여 : 최초의 여성작가론
    서정자 [1999]
  •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
    이진경 [1997]
  • 구비문학개설 : 구비전승의 한국문학적 고찰
    장덕순 [1984]
  • 浩然齋 「白警篇」의 서술방식과 여성문학적 성격
    박무영 [2001]
  •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이상경 [2002]
  •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이경하 [2004]
  • Rethinking Literary History: A Dialogue on Theory
  • Literary Women: The Great Writers
  •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박무영 [2016]
  •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임형택 [1988]
  • 17세기 士族 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이경하 [2005]
  • 17-8세기 사족 여성의 언어문자생활—한문·언문·구술의 상관관계
    이경하 [2019]
  •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박무영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