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정혜란 2021년
'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gnitive linguistics
  • contrastivelinguistics
  • korean-languageeducation
  • koreanlanguageeducationasaforeignlanguage
  • koreanlinguistics
  • 국어교육학
  • 국어학
  • 대조언어학
  • 인지언어학
  • 한국어교육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22 0

0.0%

'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이동 동사 대조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의 의미 대조 연구
    풍정정 [2017]
  • 한국어에 나타난‘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연구- 박경리 소 설을 중심으로
    김선하 [2013]
  •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강승혜 [2003]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 관용표현 교육 연구
    박근희 [2018]
  •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화 간 차이에 따른 개념적 은유 표현의 이해도에 관한 연구
    윤영주 [2016]
  • 한국어 피동의 원형성 정도와 용적 쓰임 연구
    권성은 [2020]
  • 한국어 연결어미 구성 ‘-을 테니까’의 인지언어학적 사용 양상연구
    곽보름 [2020]
  • 한국어 연결어미 ‘-지만’의 의미망 연구
    김강아 [2020]
  • 한국어 연결어미 ‘-아도’와 ‘-는데도’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조준선 [2020]
  • 한국어 신체 관련 감정 관용어 연구 : 중국인 학습자 말뭉치 분석과 목록 제안을 중심으로
    왕아혜 [2019]
  • 한국어 시간 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확장에 대한 연구
    XU CHUNHUA [2018]
  • 한국어 색채어의 연구 : 색채어의 범주 체계를 중심으로
    박찬옥 [2015]
  • 한국어 색채 관용표현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심혜연 [2020]
  • 한국어 분류사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리우팡 [2016]
  • 한국어 대립연결어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함계임 [2013]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이다’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서강보 [2019]
  • 한국어 감정의 은유 표현 교육 방안 연구
    박은미 [2019]
  • 한국어 가상 이동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맹경흠 [2018]
  • 한국어 ‘다’와 중국어 ‘都’의 의미 대조 연구
    이여나 [2021]
  • 한국어 ‘놀다’와 중국어 ‘玩’의 의미에 관한 비교 연구
    녜솨이 [2020]
  • 한국어 ‘깊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이명혜 [2020]
  • 한국어 ‘기쁨’ 표현 관용어의 의미 연구
    조근학 [2017]
  • 한⋅태 동물명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 한⋅중 정신질환 관련 은유 표현 대조 연구
    축일남 [2020]
  • 한⋅중 음식 관련 관용표현 대비와 교육 방안 연구
    가오밍 [2017]
  • 한⋅중 색채 관용표현의 대조 연구 : ‘红(붉다)계열, 黄(누르다)계열, 青(푸르다)계열’을 중심으로
    주반 [2020]
  • 한⋅중 반의어의 다의 구조 대조 연구
    주설 [2019]
  • 한⋅중 노여움"怒"관용어의 대조 연구 : 비유적 의미를 중심으로
  • 한⋅중 공간어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왕난난 [2016]
  • 한·베 감정적 신체 관용 표현 대조 연구
  • 출발점을 나타내는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응 관계 연구
    손방원 [2021]
  • 초등학생의 은유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이정민 [2011]
  • 중한 공간도량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 및 개념화 연구
    권희정 [201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다의어 '가다' 의미 습득 양상
    정진 [201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간개념어 교육 연구 : 한국어와중국어의 공간개념어 대조 분석을 통해
    주린 [2018]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촉각 형용사 연구
    XIAN XIANG [2019]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온도 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견옥선 [2020]
  • 정치담론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연구
    김상진 [2018]
  • 일본인 학습자의 '주다' 동사 사용에 나타나는 의미 확장과 모국어 전이 양상 연구
    한민주 [2008]
  • 인지적 접근법에 의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 에, 에서, (으)로를 중심으로
    홍고은 [2018]
  • 인지의미론의 ‘개념적 은유’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이지용 [2021]
  • 인지의미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임지룡 [2007]
  • 인지언어학적 접근에 의한 국어 어휘의미 교육 방안 연구
    조미숙 [2017]
  • 인지언어학의 성격과 설명력
    임지룡 [2020]
  • 인지언어학을 통한 부정 표현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이현주 [2014]
  •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
    임지룡 [2019]
  •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현황
    진영하 [2021]
  • 인지언어학 연구 방법론
    김동환 [2010]
  • 이미지 스키마를 통한 한국어 조사 ‘에’와 ‘에서’의 인지언어학적 의미 분석
    탁수연 [2020]
  • 이동 사건과 한국어 조사 ‘에’, ‘로’, ‘를’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 영상 도식을 바탕으로
    최예빈 [2018]
  • 의미 범주 기반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박민신 [2018]
  • 은유적 시어의 인지의미론적 탐색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강인숙 [2010]
  • 은유의 인지적 특성과 실현 양상에 관한 연구 : 강연 담화를 중심으로
    윤경선 [201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인지언어학적관점을 바탕으로
    박근희 [2015]
  • 영어와 한국어 소설 속에 나타난 욕정의 개념적 은유에 대한비교 연구
    이연우 [2021]
  • 신체화에 기초한 한중 감각어의 의미 확장 연구
    석수영 [2015]
  • 시간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길본일 [2006]
  • 상황학습 기반 은유표현 교육 방법 연구
    박은경 [2020]
  • 보조사 '은/는'의 인지언어학적 의미 기능 연구
    홍수영 [2013]
  • 미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연구
    김해미 [2015]
  • 동사의 의미 확장 연구 : 영어 FALL과 한국어 ‘떨어지다’의 은유적, 환유적 확장을 중심으로
    김미화 [2020]
  • 동사 ‘식다’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 원형 의미를 중심으로
    이용현 [2021]
  • 당위 표현 ‘-어야 하-’와 ‘-어야 되-’의 인지적 의미 교육 연구
    박병관 [2019]
  • 날씨 관련 은유표현의 한중 대조 연구
    유군 [2018]
  • 긍정과 부정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색채어 ‘검정’과 ‘하양’의 교육 방안 연구
    이아정 [2018]
  • 국어 신체 관용어의 은유·환유 연구 :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를 중심으로
    진정 [2008]
  • 국어 공간어의 의미 확장 연구
    정수진 [2011]
  • 국어 공간어의 시간 개념화 양상 연구
    홍달오 [2011]
  • 국어 가상 이동의 양상과 의미 특성 연구
    임태성 [2016]
  • 공간 의미 한국어 조사와 포르투갈어 전치사 대조 연구 : 인지언어학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이승연 [2021]
  • 개념적 은유 기반의 한국어 동사 의미 교육 연구
    김용 [2015]
  • 汉韩表示情感的人体词结构概念隐喻研究 : 以喜⋅怒⋅哀⋅惧情感为主
    이정희 [2012]
  • 『한국어 시각형용사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분석』
    한지오 [2013]
  • 『한국어 미각 형용사의 의미와 개념화』
    이경수 [2012]
  • ‘있다/없다’ 의미 확장 양상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김미영 [2020]
  • ‘머리’ 관련 관용구의 의미 실현 양상 연구 : 은유⋅환유 현상을중심으로
    신지혜 [2016]
  • 2010년대 신어에 나타난 환유에 대한 연구
    김미령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