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석사논문] 음경과 근대 한국의 남성성 -1920~30년대 대중매체의 과학ㆍ의학 담론을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저자 최장락
    • 제어번호 107907557
    • 학술지명 상허학보
    • 권호사항 Vol. 63 No. - [ 2021 ]
    • 발행처 상허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33-669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21
    • 등재정보 KCI등재
    • 판매처
    유사주제 논문( 0)

' [추천석사논문] 음경과 근대 한국의 남성성 -1920~30년대 대중매체의 과학ㆍ의학 담론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심진경 [2006]
  • 한국 근대소설과 섹슈얼리티의 서사
    이혜령 [2007]
  • 청년, 근대의 표상
    이기훈 [2004]
  • 지구가 평평했을 때
  • 젠더와 사회
    이남희 [2014]
  • 정력(精力)의 서사 - 『朝光』에 실린 의약품 광고를 중심으로
    김은정 [2015]
  • 일제하 한국근대소설 속의 질병과 병원
    김미영 [2006]
  • 일제강점기 위생담론과 화류병 : 화류병 치료제 광고를 중심으로
    김은정 [2012]
  • 이상 소설의 각혈하는 몸과 근대성에 관한 연구
    이재복 [2001]
  • 윤백남 선집
    윤백남 [2013]
  • 육체의 탄생
    이영아 [2008]
  • 신문 상담란 “지상 병원”을 중심으로 본 1930년대 식민지 조선 대중들의 신체 인식과 의학 지식 수용
    최은경 [2015]
  • 식민지시기 남성교육과 젠더(gender) : 양반 남성의 생활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양희 [2005]
  • 식민지기 본부살해(本夫殺害) 사건과 아내의 정상성: ‘탈유교’ 과정을 중심으로
    전미경 [2010]
  • 식민지 지식 청년의 표상과 결핵-한국 근대소설 속 결핵의 근대성과 식민성-
    김주리 [2014]
  • 식민지 남성성과 욕망의 구조 ― 채만식의 『염마』(1934)를 중심으로 ―
    정슬아 [2020]
  • 식민지 근대의 “성과학” 담론과 여성의 성(Sexuality)
    이명선 [2001]
  • 시조
  • 섹슈얼리티
  • 성의 역사 1
  • 몸의 사회학
  • 마스터베이션의 역사
  • 동광
  • 남자의 이미지
  • 남성성/들
  • 근대 영국에서의 위계화된 남성 섹슈얼리티와 "홀로 저지르는 죄악"
    계정민 [2008]
  • 국민이라는 괴물
  • 계몽의 기획과 신체
    장근호 [2019]
  • 『조선일보』
  • 『별건곤』
  • 『동아일보』
  • The Spermatic Economy: A Nineteenth Century View of Sexuality
  • The Puzzle of Spermatorrhea in Republican China
  • Spermatic Economy: A 19th century view of male impotence
  • Male Anxieties: Nerve Force, Nation, and the Power of Sexual Knowledge
  • ??역사적 파시즘??
    권명아 [2005]
  • ??씩씩한 남자 만들기??
    박노자 [2009]
  • (신대역)동의보감
    허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