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노유니아 2021년
'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Korean modern craft
  • craft as art
  • gongeop (industry)
  • gongye (craft) as a terminology
  • translation of Meiji period
  • 개념어로서의 공예
  • 공업
  • 근대 일본의 번역
  • 미술공예
  • 한국 근대 공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5 0

0.0%

'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의 참고문헌

  • 「근대어 성립에서 번역어의 역할-일본의 사례」
    이한섭 [2012]
  • 論學政第三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번역과 일본의 근대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 국립국어원 표준대국어사전
  •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 공예(工藝),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
    최공호 [2011]
  • 개화기 외교 현장에서의 통역 문제 -1883년 派美 사절단의 예를 중심으로-
    이한섭 [2009]
  • 職工學校規則
  • 納富介次郎 (佐賀偉人伝)
  • 火輪船 速力說
  • 懽迎張膺震君
  • 大統領答辭
  • 勸告學校之設立〔四〕
  • 先究安民然後加結無獘(續)
  • ‘工藝’ 용어의 근대적 개념전개
    최공호 [2003]
  •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ng-ye in the Korean Modern Age
    Boyoon Her [2014]
  •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FINAL VERSION
  • Document No.115, President Arthur’s address to the representatives of Tah-Chosun,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ransmitted to congress, with the annual message of the pres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