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철학에서 텍스트 재사용 사례 분석__ ‘가고 있는 나무’ 모티프를 중심으로 __

조율희 2021년
' 인도철학에서 텍스트 재사용 사례 분석__ ‘가고 있는 나무’ 모티프를 중심으로 __'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Dharmakīrti
  • dharmottara
  • error
  • intertextuality
  • textual reuse
  • Śaṅkara
  • 다르마끼르띠
  • 다르못따라
  • 상호 텍스트성
  • 샹까라
  • 착오
  • 텍스트 재사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42 0

0.0%

' 인도철학에서 텍스트 재사용 사례 분석__ ‘가고 있는 나무’ 모티프를 중심으로 __' 의 참고문헌

  • 천 가지 가르침
  • 인식의 ‘등불 비유’에 관한 해석 논쟁__실재의 내속성과 변충의 동일성 비교를 중심으로__
    박기열 [2017]
  • 웨단따 철학: 샹까라를 중심으로
  • 우파니샤드
    임근동 [2012]
  • 아드와이따 베단따의 가상 담론: 기만에서 유희로
    박효엽 [2014]
  • 불교철학에 있어 학파적 복합성과 독단성(1)_世親의 唯識二十論에서의 외계대상 비판의 경우
    권오민 [2010]
  • 불교와 미맘사 사이에 끼인 상캬의 정체성 - Sāṃkhya-kārikā 제1~2송에 대한 Yuktidīpikā 주석에 등장하는 불교도․미맘사학파와의 논쟁 분석 -
    함형석 [2016]
  • 베단따의 힘: 왜 인도를 대표하는 사상은 베단따인가
    박효엽 [2019]
  • 베단따의 ‘듣기·숙고하기·명상하기’(문·사·수)에 관하여
    박효엽 [2010]
  • 다르마끼르띠의 類似知覺論 연구: 『Pramāṇaviniścaya』 를 중심으로
    정성헌 [2018]
  • 塚本博士頌寿記念仏教史学論集
  • 仏教認識論の研究一法称著『プラマーナヴアールティカ』の現量輸(上)
  • ヴェーダーンタ哲学の発展
    中村元 [1955]
  • バルトリハリ著『ヴァーキヤパディーヤ』「関係詳解章」(52-88) とディグナーガ著『三時の考察』の比較研究
  • インド人の論理学 : 問答法から帰納法へ
    桂紹隆 [1998]
  • 『유식삼십송』의 가설(假說)과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 서문의 가탁(假託) 비교 - 샹까라에 미친 유식불교의 영향을 중심으로 -
    박효엽 [2018]
  • ‘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김성옥 [2012]
  • Why the Vaidalyaprakaraṇa Cannot Be an Authentic Work of Nāgārjuna
  • Tradition and Reflection
  • Traces of Reuse in Śaṅkara’s Commentary on the Brahmasūtra
  • The Reuse of Texts in Indian Philosophy: Introduction
  • The Early Upaniṣads: Annotated Text and Translation
  • Text, Commentary, Annotation: Some Reflections on the Philosophical Genre
  • Sanskrit Philosophical Commentary
  • Paṇḍita Durveka Miśra's Dharmottarapradīpa: Being a sub-commentary on Dharmottara's Nyāyabinduṭīkā, a commentary on Dharmakīrti's Nyāyabindu
  • Nyāyamañjarī of Jayanta Bhaṭṭa (Part One): With the commentary Granthibhaṅga by Cakradhara
  • Nyāyabinduṭīkā (Dharmottara) in DhPr
  • Nyāyabindu (Dharmakīrti) in DhPr
  • Non-deceptiveness and Non-erroneousness
  • Introduction: Reuse and Intertextuality in the Context of Buddhist Texts
  • Innovation and the Role of Intertextuality in the Pañcaskandhaka and Related Yogācāra Works
  • Dialogue and Doxography in Indian Philosophy: Points of View in Buddhist, Jaina, and Advaita Vedānta Traditions
  •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Chapters 1 and 2
  • Dharmakīrti's Thought and Its Impact on Indian and Tibetan Philosophy
  • Adaptive Reuse: Aspects of Creativity in South Asian Cultur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