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산문 홍척의 ‘조범모성(早凡暮聖)’에 대한 고찰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오용석 2021년
' 실상산문 홍척의 ‘조범모성(早凡暮聖)’에 대한 고찰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Dacheng-kaixin-xianxing-dunwu-zhenzonglun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 Hongcheock(洪陟)
  • Nine Mountains School of Seon
  • Silsang Seon School
  • Xitang-zhizang (西堂智藏)
  • jo-beom-mo-seong (朝凡暮聖)
  • sudden enlightenment
  • 구산선문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 돈오
  • 서당지장
  • 실상산문
  • 조범모성(朝凡暮聖)
  • 홍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 0

0.0%

' 실상산문 홍척의 ‘조범모성(早凡暮聖)’에 대한 고찰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 (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영원사수철화상비」의 판독과 찬자 · 서자에 대한 검토 - 신라말 당 관제의 수용과 정치운영과 관련하여
    최경선 [2016]
  • 한국선문의 형성과 홍주종
    강명희 [2006]
  • 편운탑과 후백제의 연호
    김포광 [1928]
  • 최초기 한국선법의 전래와 그 성격
    김호귀 [2008]
  • 조사선의 전수문, 그리고 윤리적 정향-홍주종의 ‘작용시성(作⽤是性)’을중심으로
    윤영해 [2002]
  • 원감 현욱의 실상사 주석과 실상산문의 사자상승
    배재훈 [2015]
  • 역대고승비문(신라편)
    이지관 [1994]
  •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추만호 [1991]
  • 실상사 승탑 조영으로 본 실상산문과 정권
    진정환 [2017]
  •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정선종 [2009]
  • 신라하대의 가지산문
    이계표 [1993]
  • 신라하대 선종사상의 성립과 그 변화
    김두진 [1997]
  •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김두진 [1997]
  • 신라하대 實相寺 철조여래좌상에 대한 고찰
    최성은 [2014]
  • 신라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⑵-북종선과 남종선의 전래와 안착
    고영섭 [2015]
  • 신라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⑴-북종선과 남종선의 전래와 안착
    고영섭 [2015]
  • 신라선종의 연구
    정성본 [1995]
  • 신라말 사상계의 동향
    추만호 [1994]
  • 신라말 남종 사원의 형성과 구조
    한기문 [2001]
  • 신라말 구산선문 사찰의 입지 연구
    조성호 [2000]
  • 신라 하대 홍척선사의 실상산문 개창과 철불조성
    조범환 [2006]
  • 신라 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 북종선과 남종선의 전래와 안착 -
    고영섭 [2014]
  • 선의 황금시대
    吳經熊 [2001]
  • 벽암록 하
    장경각 [2002]
  • 벽암록
    안동림 [2014]
  • 나말여초의 선종산문과 그 사상의 변화
    김두진 [2006]
  • 나말려초 선종사상사 연구
    추만호 [1992]
  • 統一新羅 鼓腹形石燈과 實相山門
    진정환 [2013]
  • 秀澈和尙(815~893)과 新羅王室
    정동락 [2009]
  • 祖堂集
  • 看話禪과 華嚴敎의 비교 연구
    전호련 [2012]
  • 片雲和尙浮圖를 통해 본 實相山門과 甄萱政權
    배재훈 [2009]
  • 洪陟禪師의 南宗禪 전래와 현실대응
    정동락 [2011]
  • 景德傳燈錄
  • 新羅 下代 禪僧과 王室
    조범환 [2005]
  • 新羅 下代 僧侶들의 入唐 留學과 禪宗 佛敎 문화의 擴散
    조범환 [2012]
  • 新校定的敦煌寫本神會和尚遺著兩種
  • 實相寺 鐵佛 硏究
    강건우 [2013]
  • 宋⾼僧傳
  • 南宗頓教最上⼤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惠能⼤師於韶州⼤梵寺施法壇經
  • 中國禪宗史
  • ⾺祖道⼀禪師廣錄(四家語錄卷⼀)
  • ⽼⼦註譯及評介
    陳⿎應 [2007]
  • ⼤乘開⼼顯性頓悟真宗論
  • Edification Practice and Teaching–Learning Thought that Zen Buddism spread period’s Zen maestro’s have achievement in the last period of Silla: Centered on Hongcheok(洪陟) and Mooyeom(無染) maestro of Zen
  • Buddhist Art of the Silsangsan School, Cradle of Art of the Korean Seon Buddhism in the Later Silla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