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을 중심으로

주월랑 2021년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ength of Learning
  • Lexical Density
  • Lexical Sophistication
  • Married Immigrant Women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lengthofresidence
  • lexicalvariation
  • 거주기간
  • 상관관계
  • 어휘 밀도
  • 어휘 세련도
  • 어휘다양성
  • 여성 결혼이민자
  • 학습기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18 0

0.0%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 여부가 학습자의 화행 실현 양상에 미치는영향
    이해영 [2006]
  •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인의 신체언어 이해에 관한 연구 : 의미 이해비교와 거주 기간을 중심으로
    곽수옥 [2015]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불평 화행의 인지 연구
    홍승아 [2010]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복잡성, 구문복잡성 및 언어능력 변인들 간의 상관에 관한 융합 연구
    이미경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 풍요도 연구-숙달도 측정 도구로써 어휘 풍요도 측정 가능성을 중심으로
    원미진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 다양도 및 어휘 밀도 연구
    배도용 [2012]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복잡성 연구: 통사 및 어휘 복잡성을 중심으로
    남주연 [2015]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발화에 나타난 어휘 발달 양상 분석-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미미 [2020]
  • 한국어 친족 호칭어 및 지칭어 교육 현황 연구: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 교재를 중심으로
    이은희 [2015]
  • 한국어 교재의 상대경어법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정유위 [2018]
  • 한국어 격조사 사용에 관한 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임명옥 [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어휘를 중심으로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른 호칭어 습득 양상
    장선영 [2012]
  • 중국인 결혼이민자를 위한 특수 분야의 기본어휘 선정 방안 연구-중국어 강사로서의 직업문식성 신장을 중심으로-
    강금염 [2013]
  • 제주 방언 교육의 현실과 교육 방안-제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권미소 [2018]
  • 자발화표본 분석을 통한 필리핀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구문 특성
    김성수 [2011]
  • 자발화 표본 크기의 효율성 제고: 산출적 어휘 크기 분석을 중심으로
    김가인 [2017]
  • 이중언어사용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분석
    김남은 [2014]
  • 외국인의 한국어 구어 발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결혼이민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희 [2011]
  • 오류 분석을 통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김형주 [2014]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전영옥 [2011]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오류 분석
    전영옥 [2010]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및 구문능력
    김승희 [2013]
  •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을 위한 어휘 선정 및 등급화 연구
    주월랑 [2013]
  • 여성결혼이민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쓰기 자료의 복잡성과 정확성을 중심으로
    주월랑 [2018]
  • 여성결혼이민자의 원활한 학부모 역할을 위한 어휘 선정 연구
    공지연 [2009]
  •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어법 교육에 대한 일고찰
    최홍열 [2017]
  •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에 따른 구어 복잡성 발달 연구-통사 복잡성을 중심으로
    주월랑 [2020]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방언 문법 교육 기초 연구 - 안동 방언의 ‘해라’체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
    권화숙 [2016]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요리 어휘 연구
    허은혜 [2012]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안동 방언의 ‘하십시오’체 의문형 어미 연구
    권화숙 [2017]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대우표현 교육 내용 연구
    최민지 [2018]
  • 여성결혼이민자 담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오류 분석 연구
    김수미 [2010]
  • 여성결혼이민자 교육을 위한 전라북도 방언 문법 표현 연구 : 상대높임법 체계를 중심으로
    박지은 [2018]
  • 여성결혼이민자 교육을 위한 전남방언 어휘의 선정-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한지현 [2013]
  •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발화 특성 - 평균발화길이와 어휘 다양도를 중심으로 -
    김선정 [2012]
  • 여성 결혼이민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연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
    허명란 [2012]
  • 언어노출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박은희 [2013]
  • 아동 언어 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2003]
  • 숙달도와 거주 기간에 따른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 양상 : 자음과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이혜정 [2015]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심혜령 [2017]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재의 어휘교육 연구
    이영주 [2018]
  •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친족 내 한국어 경어법 오류 양상 연구
    임미경 [2013]
  •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우창현 [2011]
  • 담화 차원에서의 한국어 어휘 유창성 신장 방안 연구
    이경 [2014]
  •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
    권진수 [2017]
  • 결혼이민자의 거주 기간별, 언어권별에 따른 한국어 능력 - 10개국 출신의 전국 거주자를 대상으로 -
    김경령 [2013]
  •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을 위한 2013년 초등학교 개정교과서 어휘 분석 -1, 2학년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현주 [2013]
  • 결혼 이민자를 위한 명사구 보문절 교육 내용 연구—완형보문을 중심으로—
    오하은 [2017]
  •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이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
    박수영 [2015]
  • 거주기간과 상호작용이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조현지 [2011]
  • 거주 기간과 한국어 사용량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노태희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정확성,유창성의 역동적 발달 연구」
    이복자 [2015]
  • The effect of experience on adults’ acquisition of a second language
    Flege, J. [2001]
  •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Schooling as Variables in L2 Acquisition Research
    Pak, Yunhaw [1994]
  • Experienc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Late Second Language Learners' Oral Proficiency
  • Age at immigration and second language proficiency among foreign-born adults
    Stevens, G. [1999]
  • A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task-based instruction
    Skehan, P.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