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손숙경 2021년
'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sanjin
  • dongnae
  • hinterland
  • local elites
  • military and clerk groups
  • modern and contemporary age of Busan
  • outcomes of local study
  • 동래
  • 무임과 이서집단
  • 배후지
  • 부산의 근현대
  • 부산진
  • 지역 시점
  • 향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0 0

0.0%

'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의 참고문헌

  • 한말~일제시기 부산지역 기독교인들의 계층 구성과 지역 내 활동 - 부산진교회와 초량교회 구성원을 중심으로 -
    임지원 [2009]
  • 한말, 일제하 부산지역의 도시형성과 공업구조의 특징
    김경남 [1999]
  • 한말 식민지기 東萊郡 機張 薇洞 南平 文氏 家門의 대부 행위와 그 내용
    강주성 [2021]
  • 초량왜관을 다녀간 두 軍醫, 시마다 노부우미와 사네요시 야스즈미
    박기현 [2017]
  • 주변부에서 배후지로 - 기장의 역사와 문화, 무엇을 문제 삼고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손숙경 [2016]
  • 조선후기 정치·경제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김강식 [2007]
  • 조선후기 왜관 개시무역과 동래상인
    김동철 [1998]
  • 조선후기 사회문화사 연구동향
    오인택 [2007]
  • 조선후기 변경지역의 무임조직과 무임집단, 그리고 이들의 정체성 : 동래 지역의 사례연구
    손숙경 [2006]
  • 조선후기 동래의 향반사회와 武廳-조선후기 향반사회의 지배구조와 사회이동 문제에 대한 一試論-
    민선희 [1993]
  • 조선후기 동래의 武廳先生案과 武任총람
    손숙경 [2009]
  • 조선후기 동래(東萊) 지역 무임(武任)집단의 조직과 운영
    손숙경 [2007]
  • 조선후기 동래 지역사회의 엘리트와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
    민선희 [1995]
  • 조선후기 대외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국내 대일관계 연구를 중심으로-
    심민정 [2007]
  • 제중원의 ‘이중적 지위’와 그 변화-­ 서울대병원의 ‘제중원 계승’ 주장과 관련하여
    김도형 [2015]
  • 잘 알려지지 않은 부산 근대의료사
    박기현 [2019]
  • 자료소개:동래부 남촌면 고문서 해제
    강대민 [1994]
  • 일제시기 지역철도 연구-근대 식민도시 부산의 전철 건설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역학관계-
    전성현 [2012]
  • 일제시기 안희제의 기업활동과 경제운동
    오미일 [2000]
  • 일제시기 白山商會의 창립과 변천
    오미일 [2014]
  • 일제강점기 정치·경제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배석만 [2007]
  •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지방지배 ‘전략’과 도청이전을 둘러싼 ‘지역정치’
    전성현 [2020]
  • 일제강점기 사회운동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박철규 [2007]
  •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인구통계의 정비와 분석
    김대래 [2005]
  • 일제강점기 부산의 유통과 무역
    박봉두 [1998]
  • 일제강점기 부산의 경제구조-제조업과 수산업을 중심으로
    김인태 [1998]
  • 일제강점기 부산도시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차철욱 [2007]
  • 일본 식민지하 조선인 상사회사의 일유형:백산무역주식회사의 경우
    김준헌 [1984]
  •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이훈상 [2012]
  • 부산학연구문헌목록집
  • 부산지역 연구문헌 목록자료집Ⅰ·Ⅱ
  • 부산지방에서 기독교의 전래와 교육, 의료 활동
    이상규 [1994]
  • 부산지방 기독교 전래사
    이상규 [1994]
  • 부산권 연구문헌 목록집
  • 부산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대래 [2003]
  • 부산경남고문헌자료의 조사 연구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부산경남고문서연구총서』 출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훈상 [2015]
  • 백산 안희제의 생애와 민족운동
  • 동하면고문서
  •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김동철 [2018]
  • 독립운동 자금의 젖줄 안희제
    이동언 [2010]
  • 나라사랑 19
    조기준 [1975]
  • 근대 개항기 부산지역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강대민 [2007]
  • 구포[경남]은행의 설립과 경영
    차철욱 [2001]
  • 경제개발 개시연도의 부산 제조업에 관한 연구 - 1962년 『전국기업체총람』의 분석 -
    김대래 [2019]
  • 東萊府商賈案을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동래상인- 東萊武任先生案과의 비교
    김동철 [1993]
  • KOSIS 국가통계포털
  • Inside the Hermit Kingdom : The 1884 Korea Travel Diary of George C. Foulk
  •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on Korea and Tokugawa Japan
  • 19세기 후반 향리 출신 노년 연령집단과 읍치의 제의 그리고 포퓰러 문화의 확산
    이훈상 [2010]
  • 19세기 중반 동래 지역 기영회 결성과 그 역사적 의미
    손숙경 [2012]
  • 19세기 말 民村 지역 주민들의 혼인 연망과 종족화 양상 - 東萊府『沙上面 戶籍中草』의 사례 분석 -
    진상원 [2018]
  • 19세기 기장군 미동의 향반 남평 문씨 가문의 경제 기반과 한말 식민지기 새로운 경제활동
    이훈상 [2017]
  • 1920~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장선화 [2000]
  • 17~19세기 동래부 소통사의 편제와 대일활동
    김동철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