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 대학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lended learning
  • extracurriculum
  • instructional design model
  • 교수설계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
  • 비교과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5 0

0.0%

' 대학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의 참고문헌

  •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대학 생활 만족도 제고: S 대학 사례 중심으로
    박상훈 [2018]
  • 프로젝트 번역 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설계
    최은실 [2016]
  •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남창우 [2020]
  • 창의활동을 적용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송인자 [2017]
  • 유아교육에서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김영희 [2016]
  • 예술치료를 병행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 [2015]
  • 아동연구방법
    황해익 [2017]
  •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 조사 및 운영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최진영 [2011]
  • 비교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효과 분석
    김혜진 [2016]
  •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교양교과목의 수업효과 분석
    김현우 [2018]
  • 비교과 교육 활동 참여가 학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 전공, 학년 변인과 비교과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황순희 [2019]
  •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헌수 [2019]
  • 모바일(m-learning)환경에 적합한 협력학습 모형 개발
    남창우 [2012]
  • 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육안전만 강화 방안
    교육부 [2020]
  • 대학의 융합 교육 및 교과, 비교과 활동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세가지 에세이 : 대학의 교육-취업 연계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백원영 [2016]
  •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2015~2016 국내 초기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중심으로
    이형주 [2019]
  •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배상훈 [2012]
  •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김정민 [2018]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조윤서 [2016]
  •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학생들의 성취도와 만족도 조사를 통해 -
    서정아 [2016]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정윤숙 [2019]
  •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손혜진 [2016]
  • 대학미술수업에서 팀 역량 강화를 위한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박수홍 [2008]
  •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분석으로부터
    이혜정 [2007]
  • 대학 핵심역량기반 수요자 맞춤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권영애 [2019]
  • 대학 신입생을 위한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박은민 [2015]
  • 대학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이러닝 교수법 온라인 콘텐츠 개발
    이혜정 [2010]
  •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윤정현 [2020]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김수연 [2016]
  • 대학 비교과 교육에 대한 여자대학생의 인식 및 발전방향 연구 - C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은영 [2019]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안나 [2017]
  •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이경희 [2019]
  •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배윤주 [2021]
  •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회림 [2015]
  • 국내 대학에서 핵심역량의 유형과 의미 탐색: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유지은 [2019]
  • 교육공학 용어해설
    이현우 [2020]
  • 교실수업-사이버학습 연계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연구
    임정훈 [2003]
  • 교과-비교과 연계 교육과정(Co-Curriculum)이 학생의 전공역량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일반수학2’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 [2020]
  • e-러닝 및 블렌디드 러닝 가이드북
  • Positive effects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on students
    Massoni, E. [2011]
  • Meaning-Making 기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적응 성에 미치는 효과
    손영민 [2016]
  •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 Extracurricular activities : Beneficial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curriculum or subversion of academic goals?
    Marsh, H. [1992]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and probability of employ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 Education: From disruption to recovery
  • Clarify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y : A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 Blended learning : Using technology in and beyond the language classroom
    Sharma, P. [2007]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 4년제 D대학교의 비교과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최헌철 [2019]
  •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편람설명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