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으로서의 교육과정-되기: 세 청년의 대학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아람 2021년
' 삶으로서의 교육과정-되기: 세 청년의 대학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llege experience
  • communities outside the university
  • curriculum of lives
  • narrative inquiry
  • 내러티브 탐구
  • 대학 밖 공동체
  • 대학경험
  • 삶으로서의 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28 0

0.0%

' 삶으로서의 교육과정-되기: 세 청년의 대학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의 참고문헌

  •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이병식 [2012]
  • 학생 공부인생의 내러티브가 학교교육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주는 시사점
    김필성 [2019]
  • 학교 문화와 질적 연구
    조용환 [2020]
  • 프루스트와 기호들
    Deleuze, G. [1997]
  •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2020]
  • 포스트휴먼
    Barnett, R. [2015]
  • 폐허의 대학 : 새로운 대학의 탄생은 가능한가
  • 최후의 교수들 : 영리형 대학 시대에인문학하기
  • 체육학 박사과정 연구자의 삶과 수학과정의 의미: 내러티브 탐구
    김동현 [2011]
  • 천개의고원
    Deleuze, G. [2001]
  • 차이와 반복
    Deleuze, G. [2004]
  •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Dewey, J. [1938]
  •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Dewey, J. [2017]
  • 재개념화란무엇인가?.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엄기호 [2010]
  •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천주희 [2016]
  • 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인가?
    유정애 [2010]
  • 예술, 존재에 휘말리다
    이진경 [2019]
  •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Sellers, M. [2018]
  • 사건, 탈주, 탈영토화: 한 특수교사의 가치 갈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엄수정 [2019]
  • 미래를 여는 교육학
    홍원표 [2019]
  •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계’와 ‘배치’를 통해 ‘교육’과 ‘배움’ 새롭게 사유하기
    전가일 [2019]
  •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 배움의 우연성에 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배지현 [2012]
  • 드라마 <스카이 캐슬>과 신재민 사건에 나타난 학벌 계급 가족
    천정환 [2019]
  • 도래하는 공동체
    Agamben, G. [2014]
  • 대학은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Barnett, R. [2011]
  • 대학생은 처음이라
    고준우 [2019]
  •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인식 분석
    이혜정 [2020]
  •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박민정 [2008]
  • 대학과 대학교육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 대학의 미래와 대학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변순용 [2015]
  •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전문성의 재개념화
    강현석 [2006]
  •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 깊어진 ‘인구론’, ‘인문학 박사’ 70%는 ‘실업자-임시직-자영업’
  •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
  •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Tyler, R. [1990]
  • 교육과정 자료 사용자로서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 개발자로서 교사 개념 탐색
    김현규 [2018]
  •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이성호 [2004]
  •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 고등교육의 내러티브 교육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육 원리의 시론적 탐색
    김수동 [2017]
  • 『노마디즘 1』
    이진경 [2002]
  • 「교육학에서의 내러티브 가치와 교육적 상상력의 교육」
    강현석 [2007]
  • “대학서열화와 대학교육에 관한 연구”
    오호영 [2015]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조헌국 [2017]
  • Worlds of curriculum making : Familial curriculum-making worlds and school curriculum-making worlds
    Lessard, S. [2015]
  • The Practical : A Language for Curriculum
  •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s: Teacher stories. Stories of teachers. School stories. Stories of schools
  • Teachers; persnonal practical knowledge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 Review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 Reverberations of narrative inquiry: How resonant echoes of an inquiry with early school leavers shaped further inquiries
  • Playfulness, "world"-travelling, and loving perception
    Lugones, M. [1987]
  • Places of curriculum making : Narrative inquiries into children's lives in motion
  • Pinar의 쿠레레(Currere) 교육과정 탐색
    이흔정 [2002]
  • Narrative inquiry, curriculum making, and teacher education
  • Legitimating lived curriculum : Toward a curricular landscape of multiplicity
    Aoki, T. T. [1993]
  • Learning from research on teaching: Perspective, methodology and representation
    Huber, J. [2005]
  • Feminism and curriculum : Getting our act together
    Grumet, M. [2000]
  • Familial Curriculum Making: Re-shaping the Curriculum Making of Teacher Education
  • Composing diverse identities : Narrative inquiries into the interwoven lives of children and teachers
  • College life through the eyes of students
    Grigsby, M. [2009]
  •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 EFL teachers as curriculum-developers, curriculum-makers and curriculum-transmitters
  • After the fact : two countries, four decades, one anthropologist
    Geertz. C. [1995]
  • A curriculum of life
  • A Narrative inquiry into familial and school curriculum making : attending to multiple worlds of Aboriginal youth and families
    Lessard, S. [2015]
  • 4차산업혁명의 의미와 지속 가능한 대학교육
    조상식 [2018]
  • '내러티브 교육과정 메이커', 그 이름은 교사
    홍영숙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