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역량과 사회안전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통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정부역량과 사회안전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통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overnment capacity
  • social integration
  • social risk
  • socialsafety
  • 사회 통합
  • 사회안정성
  • 사회위험
  • 정부역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64 0

0.0%

' 정부역량과 사회안전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통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인의 위험인식
    설동훈 [1988]
  • 한국 이민·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사회통합 측면의 탐색적 연구
    이상윤 [2014]
  •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 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재호 [2012]
  • 지역 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안전 인식 분석 : 서울시와 부산시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이재송 [2017]
  • 지방정부혁신역량 구조화 모델 -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을 적용하여
    장원호 [2005]
  • 지방정부의 자치역량 강화방안 : 분석틀의 구성을 중심으로
    최봉기 [1993]
  • 지방정부의 역량에 관한 개념화 연구
    이승종 [2005]
  •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김수병 [2017]
  • 지방정부 갈등관리의 현황분석 및 정책과제
    최병학 [2014]
  • 지방자치단체 내부조직역량 평가체계의 구축 및 활용방안
    김병국 [1999]
  • 제5장 탈북자 문제와 사회통합 간의 상관성
    이진석 [2014]
  • 정부의 윤리성과 사회갈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적 탐색
    윤건 [2018]
  • 정부의 규모(Size), 기능(Scope), 역량(Strength)에 관한 탐색적 연구: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문명재 [2007]
  • 정부역량 측정을 위한 지표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문・윤리・협치역량을 중심으로
    윤건 [2018]
  • 정부역량 지수화 방안 연구(Ⅲ): 국민과 정부의 참여역량을 중심으로
    윤건 [2018]
  • 저숙련 외국인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김순양 [2008]
  • 이주자 사회통합모델의 비교분석: 네덜란드, 독일, 한국의 사례
    고상두 [2012]
  • 원자력발전소 지역주민의참여가 수용성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가?: 신뢰, 지식, 위험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주경 [2018]
  •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지역 차에 관한 연구
    배미애 [2007]
  • 사회통합지수에 관한 연구 - 지표의 구성, 측정 및 검증을 중심으로 -
    윤건 [2019]
  • 사회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신중섭 [2013]
  • 사회통합의 다원적 가치와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가주의,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세계시민주의를 중심으로
    장용석 [2012]
  •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안전망 정책과제
    김용하 [2013]
  • 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국제비교
    이재열 [2014]
  • 사회통합 실태조사
    이건 [2013]
  • 사회조사: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통계청 [2020]
  •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외부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윤두섭 [2007]
  • 사회적 자본과 정부의 질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공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2020]
  •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문제 및 정책에 관한 고찰
    강영배 [2009]
  • 사회위험의 대응관리에서 사회위험 예방관리로
    서재호 [2010]
  • 사회안전지표 개발을 위한 국민안전의식조사
    이재열 [2005]
  • 사회안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재난대응 정책
    정영철 [2016]
  •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수준과 영향요인 분석: 시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임동진 [2016]
  • 사회갈등 및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김문길 [2017]
  •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재성 [2009]
  • 박탈의 실태 진단 및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
    여유진 [2017]
  • 다문화사회 방송의 사회 통합적 기능에 대한 연구: 법적 규범, 방송사의 행위규범과 편성행위를 중심으로
    허찬행 [2014]
  • 다문화 현상에 대한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김태원 [2010]
  • 다문화 공공갈등의 전개와 지방정부 대응: 이슬람사원 건축허가를 둘러싼 갈등 사례연구
    김상섭 [2017]
  •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의 의의와 한계 : 장애인의 사회적 배재를 중심으로
    이익섭 [2005]
  • 국민 안전의식 실태분석 및 안전문화 기반조성 방안
    이환성 [2014]
  • 과학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 역량평가 도입 매뉴얼
  • 거버넌스와 국가역량
    정용덕 [2006]
  • “전환기적 사회정책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역할,”
    이주하 [2018]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 The impact of collaborative planning on governance capacity
  •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 The Age of Migration
    Castles, S. [1998]
  • Social Risk Management: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Protection, and Beyond
    Holzman, R. [2001]
  • Public Perception of Population Health Risks in Canada : Risk Perception Beliefs
    Krewski, D. [2008]
  • Policy capacity for health system reform
    Denis, J. [2015]
  • Perceived Cohes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Examination
  • Optimism and the Perception of New Risks
  • Old and New Sources of Risk : A Study of Societal Risk Perception in Finland
    Rasanen, P. [2012]
  • Integration of Migrants: Contribution of Local and Regional Authorities
    Bosswick W. [2006]
  •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 Disaster : Theory and Research
  • Disaster & Emergencies Definitions
  • Developing a learning organization
    Lassey, P. [1998]
  • Demographic Influences on Risk Perceptions
    Savage, I. [1993]
  •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 An Introduction to the IRGC Risk Governance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