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이준규 2021년
' 『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thology system
  • Scholar of the Wilderness
  • Scholar of the forest
  • Scholarly bureaucrat
  • Toegyejip
  • Yulgokjeonseo
  • ganjaejip
  • yulgokjip
  • 간재집
  • 관료형 문인
  • 문집 체제
  • 산림의 처사
  • 율곡전서
  • 율곡집
  • 초야의 학자
  • 퇴계집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 0

0.0%

' 『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의 참고문헌

  •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와 의의
    이경동 [2020]
  • 율곡 시의 원전 비평: 遠接使 때의 차운시들에 대해서
    김주수 [2007]
  • 월봉서원고문서해제
    이준규 [2017]
  • 녹봉정사와 조선중기의 낙중학
    정석태 [2020]
  • 금성개간『계산잡영』과 경자본『퇴계문집』의 간행 경위에 대한 일 고찰
    심경호 [1997]
  • 금계 황준량의 녹봉정사 설립과 성주목사 재직시절의 활동
    정석태 [2020]
  • 韓國文集叢刊 57
    金長生 [1991]
  • 韓國文集叢刊 44~45
    李珥 [1990]
  • 韓國文集叢刊 3~5
    李穡 [1989]
  • 韓國文集叢刊 332~336
    田愚 [2005]
  • 韓國文集叢刊 29~31
    李滉 [1989]
  • 韓國文集叢刊 12
    金宗直 [1989]
  • 韓國文集叢刊 10~11
    徐居正 [1989]
  • 韓國文集叢刊 108~116
    宋時烈 [1993]
  • 韓國文集叢刊 106~107
    宋浚吉 [1993]
  • 退溪先生文集 刊行經緯 연구 : 庚子本을 중심으로
    徐廷文 [1993]
  • 艮齋學派의 學統과 사상적 특징
    박학래 [2007]
  • 艮齋 田愚의 哲理詩 硏究
    나종선 [2010]
  • 艮齋 田愚의 『臼山先生風雅』 硏究
    나종선 [2011]
  • 艮齋 田愚와 艮齋學派 연구 현황 및 과제
    박학래 [2016]
  • 石農集
    吳震泳 [1950]
  • 栗谷集
  • 朱子大全
    朱熹 [1984]
  • 月軒集
    李普林 [1981]
  • 書簡 중심의 문집 출현과 『退溪集』 ― 『退溪集』 諸 異本에 대한 한 고찰 ―
    정석태 [2015]
  • 尤菴集
  • 尤菴 宋時烈 문집의 편찬과 간행
    오항녕 [2008]
  • 二程全書
  •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정석태 [2008]
  •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자료해제와 원문정리-
    이준규 [2020]
  • 『宋子大全』 간행에 관한 연구 - 『掃塵錄』과 『尊衛案』의 내용을 중심으로 -
    박준호 [2010]
  • 『(한국문집총간)퇴계집』해제
  • 『(한국문집총간)율곡전서』해제
  • 『(한국문집총간)송자대전』해제
  • 『(한국문집총간)간재집』해제
  • ‘正典’ 만들기의 한 사례,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대한 비판들
    김태년 [2014]
  • 17세기, 율곡 이이 문집의 편찬에 관한 제 논의 고찰
    박관규 [2008]
  • 16 ㆍ 7세기 栗谷學派의 형성과 활동 - 著述ㆍ文集의 편찬과 政治論을 중심으로-
    정호훈 [2011]
  • (校勘本)栗谷全書 1
    李珥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