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에 대한 기억과 그 형상화-정포의 「동래잡시」를 중심으로

이상봉 2021년
' 동래에 대한 기억과 그 형상화-정포의 「동래잡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SAN
  • Dongnae(東萊)
  • Dongnaejabsi(東萊雜詩)
  • Haeundae(海雲臺)
  • Jeongpo(鄭誧)
  • Korea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漢詩)
  • Local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地域 漢文學)
  • 동래
  • 동래잡시
  • 부산
  • 정포
  • 지역 한문학
  • 한시
  • 해운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2 0

0.0%

' 동래에 대한 기억과 그 형상화-정포의 「동래잡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蓬萊別曲」의 構造와 鄭顯德의 釜山에 대한 認識
    엄경흠 [2006]
  • 李穀과 鄭誧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이태형 [2010]
  • 李安訥의 <萊山綠> 硏究
    金眞兒 [1998]
  • 한문학에 나타난 부산지역 문화전통의 특성
    정경주 [2004]
  • 한문독해捷徑
  • 정서의 생애와 충신연주지사로서의 정과정
    정경주 [1994]
  • 전란의 뒤끝에서 평화를 기원하다, 〈선상탄〉
    김용찬 [2018]
  • 작품의 사회적 의미지향과 수사적 표현 연구 - 「선상탄」을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 원재 정추의 비판적 시세계에 대한 고찰
    엄경흠 [1997]
  • 부산지역 고전문학의 창작 배경에 대하여
    정경주 [2011]
  • 부산의 고전문학
    정경주 [1996]
  • 부산광역시홈페이지
  • 봉래별곡의 연구
    박지홍 [1964]
  • 국문학의 연구
    박지홍 [1976]
  • 과정문학의 재조명
    김인택 [1997]
  • 고려시대史料DATABASE
  • 고려가요 정과정·사모곡의 연구
    金永吉 [1995]
  •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임주탁 [2012]
  • 謫降 모티프 유배가사작품에 나타난 표현방식의 특성과 시적 효과
    최규수 [1994]
  • 稼亭集 권17
    李穀 [1990]
  • 益齋亂藁
    李齊賢 [1990]
  • 澤堂集 卷6
    李植 [1992]
  • 淸溪集 卷2
    洪葳 [1994]
  • 洪崖遺槀
    洪侃 [1990]
  • 汾厓遺稿』卷2
    申晸 [1994]
  • 東萊區誌
    이규상 [1995]
  • 東岳集 卷8
    李安訥 [1991]
  • 東岳 李安訥의 詩 연구 : <萊山錄> 所載 詩를 중심으로
    權賢珠 [1992]
  • 圓齋槀
    鄭樞 [1990]
  • 國譯 東萊府誌
    정연구 [2000]
  • 四佳集 卷46
    徐居正 [1988]
  • 保閑齋集 卷14
    申叔舟 [1988]
  • 『한국고전종합DB』
  • 「鄭瓜亭(眞勺)」의 연구
    梁太淳 [1991]
  • 〈정과정〉한시의 서정적 적층에 대하여
    정경주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