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집단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타당화

' 한국판 집단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타당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roup counseling experience
  • Group leader level
  • Group leader self-efficacy
  • Micro-skill
  • Process skill
  • Skill for dealing with individual differences
  • 과정 기술
  • 세부상담 기술
  • 집단상담 경험 수준
  • 집단상담자 발달 수준
  • 집단상담자 자기효능감
  • 차이를 다루는 기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 0

0.0%

' 한국판 집단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타당화' 의 참고문헌

  •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권경인 [2007]
  •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의 현황과 제언: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서원진 [2018]
  • 초보상담자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문항개발
    김미지 [2009]
  • 집단상담자 발달 모형-전문성 발달의 단계, 주요 주제 및 특성을 중심으로-
    권경인 [2012]
  •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양정연 [2020]
  •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내용, 방법, 성과를 중심으로
    권경인 [2017]
  •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Bandura, A. [2001]
  •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이순묵 [1994]
  • 상담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자기 효능감 및 상태불안이 상담 협력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수현 [2001]
  •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김창대 [2009]
  •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이수현 [2007]
  •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양명희 [2011]
  • 상담자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양미라 [2019]
  •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심흥섭 [1998]
  • 상담경력과 집단상담 윤리 인식: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 비교연구
    권경인 [2018]
  •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김창대 [2008]
  •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엄명용 [2005]
  •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장승민 [2015]
  •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강진구 [2005]
  • 국내 집단상담 연구의 최근경향과 과제
    권경인 [2010]
  • 구조화 집단상담에서 초심집단상담자의어려움 인식 연구
    김은수 [2017]
  •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2000]
  •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김주환 [2009]
  •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2009]
  •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Corey, G. [2004]
  • The supervision of group work model : adapting the discrimination model for the supervision of group workers
    Rubel, D. [2007]
  • The social cognitive model of counselor training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self-efficacy, and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f counselor education practicum and internship students
  •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 The Effects of two group approaches on counseling students’ empathy development, group leader self-efficacy development, and experience of the therapeutic factors
  • Tests of significance in factor analysi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West, S. [1995]
  •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한덕웅 [1993]
  • Review of the counseling self-efficacy literature
  • Rasch 모형을 이용한 Marlowe-Crowne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 타당화
    설현수 [2005]
  • Multi-variate data analysis
    Hair, J. [2006]
  • Manual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Interactive group counseling and therapy
    Kline, W. [2003]
  • 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Hill, C. E. [1999]
  • Handbook of group counseling &psychotherapy
  •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
    Meir, E. I. [1981]
  • Groups: a counseling specialty
  • Group leader development : effects of personal growth and psychoeducational groups
  • Extending social cognitive theory to counselor training : problem and prospects
    Lent, R. W. [1998]
  • Dimensions used by experienced and novice group therapists to conceptualize group process
  • Development of the group leader self-efficacy instrument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Lent, R. W. [2003]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 Client-specific counselor self-efficacy in novice counselors : relation to perceptions of session quality
    Lent, R. W. [2006]
  •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Kaiser, H. [1974]
  •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incidents by group leaders
    Browne, F. [2002]
  • A review of group systems theory
  • A new scale of social desirability independent of psychopathology
  • A new incremental fit index for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 A guide to the proper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research
    Merenda, P.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