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요 도서 지역의 기후변화 지표 식물 분포

논문상세정보
' 한반도 주요 도서 지역의 기후변화 지표 식물 분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iogeography
  • Global warming
  • Indicator space
  • Island area
  • Vulnerable plants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0 0

0.0%

' 한반도 주요 도서 지역의 기후변화 지표 식물 분포' 의 참고문헌

  • 홍도천연보호구역의 식생특성 연구 : 천연기념물 제170호 식물 종조성 및 식생구조
    이지혜 [2014]
  •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분포 변화 예측
    조강현 [2015]
  • 한반도 주요 산정의 식물종 분포와 기후변화 취약종
    공우석 [2014]
  •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김혁진 [2011]
  •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종풍부도 변화 예측 연구
    신만석 [2018]
  • 한려해상국립공원 노도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와 식물상
    서강식 [2014]
  • 충남 서천 유부도와 인근 섬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오현경 [2016]
  • 추자도(제주도) 지역의 관속식물
    선은미 [2019]
  •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한병우 [2018]
  • 지표종을 이용한 생태계 위해성평가
    김경웅 [2007]
  • 지리산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
    김지동 [2018]
  • 조약(약산)도 식물상 및 식물지리학적 분포
    이정희 [2006]
  • 제주도 무인도서의 식물상과 생활형
    송국만 [2009]
  • 임자도 지역의 식물상
    인석영 [2012]
  • 인천 옹진 굴업도의 식물상과 비교사례 연구
    오현경 [2016]
  •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양선규 [2015]
  • 욕지도(통영시)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김중현 [2016]
  •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
    황승현 [2019]
  • 온도 상승에 따른 우리나라 습지식물의 기후변화 부적응 리스크 평가
    홍승범 [2019]
  • 영흥도의 식물상
    임용석 [2015]
  • 영종도와 용유도 일대의 식물상
    이혜정 [2012]
  •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 속 와편모조의 출현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김형신 [2008]
  • 여수 묘도의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최영은 [2017]
  • 여서도의 관속식물상
    김선유 [2014]
  • 신안군의 식물상
    정지현 [2011]
  • 습지지표종으로서 딱정벌레류를 이용한 부산, 경남 주요 습지의 특성 및 변화 관찰
    도윤호 [2007]
  • 송이도 식물상의 시간적 변동
    장경수 [2014]
  •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박선주 [2004]
  • 서해 5도의 식물상
    손동찬 [2016]
  • 생일도 식물상 및 식물지리학적 분포
    이영희 [2005]
  • 산포능력을 고려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의 미래 분포 변화 예측
    박선욱 [2019]
  • 보길도(전남) 적자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특성
    오현경 [2011]
  • 백령도 지역의 관속식물상
    김중현 [2013]
  • 무의도 (인천광역시)의 관속식물상
    김현준 [2016]
  • 동해안 조간대 3개 지역에서 해조류의 군집과 생물지표종
    정희동 [2014]
  • 돌산도(여수시)의 관속식물상
    선은미 [2019]
  • 덕적도(옹진군) 및 인근 도서지역의 관속식물상
    김현준 [2015]
  • 대흑산도의 관속식물상
    장창석 [2014]
  • 대청도(옹진군)의 관속식물상
    양종철 [2012]
  • 대부도 일대의 식물상
    임용석 [2014]
  •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 7종의 분포 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
    남형규 [2018]
  • 농생태계 지렁이 생물지표종 선발
    김태흥 [2009]
  • 남해안 지역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밭작물 지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정남수 [2009]
  •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방안 마련을 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안경호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후박나무의 잠재 생육지 및 변화예측
    윤종학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사스레피나무의 생육지 예측과 영향 평가
    윤종학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난대성 상록활엽수 잠재서식지 분포 변화
    박선욱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잠재적 분포적지 변화 예측 -모데미풀을 중심으로-
    이상혁 [2012]
  • 기후변화에 따른 송악의 잠재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박선욱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_4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김명현 [2011]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외래식물 실망초(Conyza bonariensis)의 서식지 분포 예측
    이용호 [2015]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분포 취약성 평가
    이상철 [2011]
  • 구상나무와 분비나무 분포지의 환경 특성 및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
    박현철 [2015]
  • 경상남도 통영시 장사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강미영 [2016]
  • 경기도 6개 호소의 수질 영양단계 및 지표종에 관한 연구
    임안숙 [2007]
  • 가거도의 관속식물상
    양선규 [2013]
  • The flora of wi Island
    Lee, C. H. [2002]
  • The flora of Gapado(Jeju island)
    Yang, Y. H. [2003]
  •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Dufrene, M. [1997]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구상나무 잠재 분포 변화 예측
    구경아 [2016]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Kore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 Floristic study of Aphaedo Island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현진오 [2018]
  • Detecting indicator species:Some extensions of the IndVal measure
    Podani, J. [2010]
  • Climate change, sea-level rise, and conservation: keeping island biodiversity afloat
  • A Floristic study of the Namhae-County
    Song, H. J. [2006]
  • A Floristic study of the Gumo Islands
    Jang, G. Y. [2009]
  • 1999~2015, National uninhabited island natural environment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