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말선초의 승군(僧軍) 개념-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의 개념 및 범주의 관점에서 -

민순의 2020년
' 여말선초의 승군(僧軍) 개념-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의 개념 및 범주의 관점에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ddhist monks troops)
  • Do-cheop (度牒
  • Seung-do (僧徒
  • Seung-gun (僧軍
  • Su-won-seung-do (隨院僧徒
  • Yu-su-seung-do (遊手僧徒
  • buddhist monk's certificate)
  • crowd of Buddhist monks devoid of the official job). Sangha
  • crowd of Buddhist monks obedient to a temple)
  • crowd of Buddhist monks)
  • 도첩
  • 수원승도
  • 승군
  • 승단
  • 승도
  • 유수승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9 0

0.0%

' 여말선초의 승군(僧軍) 개념-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의 개념 및 범주의 관점에서 -' 의 참고문헌

  •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 현」
    김용태 [2016]
  • 「임진왜란 의승군 활동과 그 불교사적 의미」
    김용태 [2012]
  • 한국사론 7
    임영정 [1983]
  • 한국사10. 조선 양반관료국가의 사회구조 : Ⅰ. 中央集權的 政治構造
    차문섭 [19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aum 포털사이트 백과사전
  • 한국 승군(僧軍)의 역사와 사상사적 의미
    고영섭 [2019]
  • 조선초기 사사전의 정리와 운영
    이병희 [1993]
  • 조선초기 법전의 僧 연구
    양혜원 [2017]
  • 조선전기의 승려통제책과 僧役
    배명애 [2006]
  • 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의승병(義僧兵)을 중심으로
    박재현 [2010]
  • 조선전기 도첩제도의 내용과 성격 -『경제육전』 체제와 『경국대전』 체제를 중심으로-
    민순의 [2016]
  • 조선전기 도첩제도 연구
    민순의 [2016]
  •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DB
  • 조선 세종 대 僧役給牒의 시작과 그 의미
    민순의 [2016]
  • 신편 한국사 28.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등장과 활동
    김종수 [2002]
  • 국역 삼봉집
    정도전 [1984]
  • 국역 동문선
    서거정 [1969]
  • 고려토지제도사연구
    강진철 [1980]
  • 고려전기 사원전경영과 수원승도(隨院僧徒)
    김형수 [1995]
  • 고려시대의 승과제도와 그 기능
    허흥식 [1976]
  • 고려시대의 군제와 승군 -수원승도의 정규군 편성을 중심으로
    이홍두 [2005]
  • 고려시대 승병의 성격과 역할
    김창현 [2015]
  • 고려시대 사원 내의 관리조직과 소속승의 구성
    한기문 [1995]
  • 고려수원승도재고(高麗隨院僧徒再考)
    임영정 [2002]
  • 고려사원의 구조와 기능
    한기문 [1998]
  • 고려사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사DB
  • 고려불교사연구
    허흥식 [1997]
  • 고려병제사 연구
    이기백 [1975]
  • 高麗時代의 隨院僧徒에 대한 고찰
    이상선 [1984]
  • 高麗時代 寺院佛事와 助力者
    전영준 [2005]
  • 高麗 僧軍考
    秋萬鎬 [1983]
  • 說文解字
    許愼 [1988]
  • 朝鮮前期의 僧軍
    안계현 [1972]
  • 壬辰倭亂과 湖南의 佛敎義僧軍
    양은용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