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와 참여의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관련특성 및 교육환경특성을 중심으로-

안현용 2020년
'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와 참여의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관련특성 및 교육환경특성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 Education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 Intention to engage
  • adult learner
  • job related characteristics
  • satisfaction
  • 교육환경특성
  • 만족도
  • 성인 학습자
  • 직무관련특성
  • 참여의사
  • 후진학 계속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920 0

0.0%

'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와 참여의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관련특성 및 교육환경특성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학점은행제 패션전공 학위과정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도와 교육기관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윤 [2017]
  •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혜진 [2013]
  • 평생학습사회에서 고등교육의 역할 변화 : 평생학습 중심대학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효선 [2015]
  •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관공서의 평생교육 을 중심으로)
    이기환 [2003]
  • 평생교육백서 2018
    교육부 [2019]
  • 평생교육단과대학 학습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적 분석
    서창수 [2017]
  •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의 참여동기와선택속성간의 관계성 연구
    정혜진 [2018]
  •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 요인 탐색과 학업중단의사에 따른 인식 차이 -D대학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하오선 [2019]
  •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 전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재직 근로자와 산업체 관계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황아름 [2017]
  •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 하이파이브
  • 특성화고 출신 고졸 여성의 선취업 후진학 선택에 관한 분석
    문상균 [2017]
  • 특성화 고등학교 선취업 후진학 제도의 효과성 연구
    최이화 [2014]
  • 커피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성 [2020]
  • 중요도-만족도 변환지수를 이용한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 측정 연구
    최경호 [2011]
  • 조직사회화 전략이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박지희 [2016]
  • 조리실습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 및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과 직업전문학교의 차이검증
    권영국 [2018]
  • 전문성으로 승부하라
    김달용 [2013]
  • 전문계고 졸업 여성청년의 고등교육 진학 선택
    김안국 [2011]
  • 재직자특별전형 운영 활성화를 위한대학 평생교육지원사업 효과성
    김진모 [2017]
  • 재직자 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재직자특별전형을 중심으로
    박지숙 [2020]
  • 아동요리 프로그램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안순 [2019]
  •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개선 방안 모색
    황영아 [2020]
  •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기관선택속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이 평생교육기관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홍은정 [2016]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 참여동기,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구주형 [2015]
  •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안현용 [2020]
  • 성인들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장미옥 [2007]
  • 선취업한 특성화고 졸업자의 후진학 필요성 인식 결정요인
    노경란 [2013]
  • 선취업 후진학자, 무엇 때문에 힘들까?
    김기홍 [2015]
  • 선취업 후진학 정책 인과가설의 타당성 분석-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중심으로-
    이숙영 [2017]
  •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박지영 [2019]
  • 선취업 후진학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인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개편(안)
    교육부 [2015]
  • 서비스품질 지각과 고객만족에 대한 기업이미지의 영향력에관한 연구
    곽기성 [1998]
  • 디지털 시대의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
    조형래 [2011]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안)
    교육부 [2019]
  •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의 비교
    신효정 [2009]
  •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최영준 [2013]
  • 대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권대봉 [2002]
  • 대학 교육서비스가 학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A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희 [2012]
  • 교육서비스수출 촉진을 위한 한국 대학교육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인 유학생 관점에서
    홍성헌 [2011]
  • 교육서비스 품질과 교육만족도 분석을 통한 제도개선 방안 :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은혜 [2020]
  • 교육서비스 품질, 학생만족과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4년제 경찰학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
    이선범 [2016]
  • 고졸로 성공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한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안)
  • 고졸 재직근로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와 참여여건은 충분한가?
    김기홍 [2016]
  •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와 관련 요인
    임언 [2017]
  • 경제활동인구조사 2019
    통계청 [2019]
  • “항공사 서비스 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 육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연 [2017]
  • “평생학습중심 대학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의 관계에서 교육 서비 스질의 조절효과”
    최지수 [2014]
  •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의 특성분석과 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마희영 [2013]
  • e-Learning에서 교수자의 역할, 학습동기 유발 및 학업지속 의향의 관계
    김영민 [2020]
  •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ed
    Astin, A. [1993]
  • UCE Student satisfaction 2000
  • The development of HEdPERF : A new measureing instru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higher education sector
  • The Inquiring Mind
    Houle. C. [1961]
  •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Campbell, A [1976]
  • Participation ofadults in education: A force field analysis
  • IS 분야 연계전공의 교육만족도 : 사례연구
    소정은 [2019]
  •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21
  • Adult education : foundations of practice
  •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4년제 대졸자의 대학원 진학 결정요인 분석
    이영민 [2011]
  • 20∼30대 고졸 선취업후진학 집단의 평생학습 경험 특성
    김명진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