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안산시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안산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ocal Government Multiculturalism
  • Multicultural Policy
  • ansan city
  • multi-culturalism
  • policy instrument
  • 다문화
  • 다문화정책
  • 안산시
  • 정책수단
  •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41 0

0.0%

'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안산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의 다문화가족정책 및 서비스의 현황분석-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강복정 [2012]
  • 한국의 다문화가족 지원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프랑스 다문화 통합정책 관점에서
    강명원 [2019]
  • 한국과 영국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안산시와 영국 레스터(Leicester)시를 중심으로
    김용찬 [2013]
  •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정책의 비판적 성찰 : ‘다문화 도시정책’의 제언
    박세훈 [2011]
  •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의 정책형성과정 연구
    박길남 [2017]
  • 커뮤니티 아트를 통한 다문화주의의 실천: 안산시 원곡동 ‘리트머스’의 사례
    김희순 [2011]
  • 참여의 제도화와 사회통합: 독일의 이민자 통합정책과 시사점
    허준영 [2019]
  • 지자체 다문화정책 추진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승준 [2009]
  •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 성과인식의 영향요인: 조직제도 및 구성원 인식을 중심으로
    강휘원 [2013]
  •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와 다문화가족의 이주사회 적응전략: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인 [2018]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사회통합 프로그램 분석 및 추진방향 - 경기도를 중심으로 -
    라휘문 [2016]
  • 일본 다문화정책의 정책기조와 특징- 다문화교육과 거버넌스 체제를 중심으로 -
    천호성 [2014]
  • 외국인 노동인력 수용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 및 정책적 함의
    하정봉 [2019]
  • 안산시 원곡동 ‘국경없는 마을’ 프로젝트: 몇 가지 쟁점들
    오경석 [2006]
  • 안산시 다문화정책 거버넌스의 구조 변화 연구
    정성영 [2016]
  • 변화하는 다문화 거버넌스: 안산 다문화마을 특구를 사례로
    허권 [2020]
  • 미국, 호주, 한국의 난민정책 비교 연구: 정책추진체계와 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권경득 [2020]
  • 다문화주의 관점의 한국 사회통합정책의 발달과정에 대한 고찰
    임은의 [2020]
  • 다문화정책서비스 질의 영향요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문정희 [2019]
  • 다문화정책 전달체계와 다문화역량이 다문화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익섭 [2015]
  • 다문화정책 수립과 시행에서의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역할: 캐나다 다문화정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인원 [2013]
  • 다문화마을 특구와 지역발전에 관한 연구 -안산시 원곡동 사례를 중심으로-
    박범종 [2017]
  • 다문화교육정책의 추진 체계 및 정책 기제 연구- 행위 주체별 정책 목표와 수단을 중심으로
    김미나 [2009]
  •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 - 서울특별시 자치구 조례를 중심으로 -
    김송미 [2017]
  •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전달 기관의 정책 수행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윤향희 [2015]
  • 다문화가정 지원에 관한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헌법과 다문화의 갈등 그리고 효율적 사무배분을 중심으로 -
    김성배 [2013]
  •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차이에 따른 의료경험: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주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영 [2016]
  • “한국 외국인정책의 정책체계 분석: 정책내용, 정책수단, 정 책과정을 중심으로”
    정명주 [2012]
  •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대상자 범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종세 [2019]
  •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Students’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Implication about Geography Education: A Case Study of Ansan
  • Nuri course childcare fee support for foreign children
    Ansan City [2018]
  •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Ansan
  •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Operation Status
  • Gyeonggi Institute of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for Migrants’ Human Rights
  • Global Youth Center(Han Yang Univ. ERICA Campus)
  • Foreign 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in 2018
  • Comparative Policy Research
  •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Equality Fields in the UK and Canada
  • Citizen Participation Welfare Center
  • Bon-oh Social Welfare Center
  • Autonomous law information system
  • Ansan, a multicultural hub city in Korea
    Ansan City [2018]
  • Ansan Multicultural Support Headquarters
  • Ansan City World Culture Experience Center
  • A Study on Improving the Supporting Syste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Delivered by Local Governments
  • 2020 Family Business Guide Volum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