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문려화 2020년
'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atriotic enlightenment
  • Taoist elements
  • Taoist literature
  • mong-yurok
  • taoistthought
  • “Monggyunjesuk”(夢見帝釋)
  • 도교 문학
  • 도교사상
  • 도교적 화소
  • 몽유록계 소설
  • 애국계몽기
  • 「몽견제석(夢見帝釋)」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5 0

0.0%

'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의 참고문헌

  • 한국 몽유 소설 연구
    신재홍 [2012]
  • 치유적 고전 서사의 발견-고전 리딩 레시피
    김수연 [2017]
  • 추강집
  • 종교문화적 의미로서의 지괴(志怪) 텍스트 읽기-《神異經》과 《十洲記》를 중심으로
    김지선 [1995]
  •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윤리사상
    김낙필 [1992]
  • 조선후기 도교 권선서의 삼제군 신격과 명청대 국가의례 전개 고찰
    김일권 [2019]
  •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김일권 [2014]
  •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이태희 [2016]
  • 우리 문인들의 李賀 詩 수용경향 연구
    박혜경 [2013]
  • 애국계몽기 민족도교와 고소설: 신자료 <몽견제석(夢見帝釋)>의 소개를 더하여
    김수연 [2013]
  • 애국계몽기 몽유록과 힘의 윤리
    황재문 [2009]
  • 몽견제석
  • 동국이상국집
  • 도연명을 그리다
    김수연 [2012]
  • 陶淵明集
    陶渊明 [1979]
  • 陶淵明“歸去來辭”國內人和韻作 考釋(其一)
    남윤수 [1985]
  • 道教文化十五讲
    詹石窗 [2012]
  • 蓬萊仙話探源
    姚聖良 [2012]
  • 神聖與世俗交識-<真詁>小說解析
    張厚知 [2011]
  • 新唐書·李賀傳與李賀小傳比較
    柳卓霞 [2014]
  • 山海經校注
    袁珂 [1993]
  • 史記
    司馬遷 [1963]
  • 南塘 韓元震의 說理詩 硏究
    조영임 [2011]
  • 冥夢世界中的奇幻敘事-朝鮮朝夢遊錄小說及其與中國文化的關聯
    孫惠欣 [2009]
  • 仙境 仙人 仙夢-中國古代小說中的道教理想主義
    苟波 [2008]
  • 中華道藏 48
    張繼禹 [2004]
  • 中國文學發展史
    劉大傑 [1976]
  • 『도장(道藏)』과 고소설에 나타나는 도가적(道家的) 상상력의 근원과 유형 연구 1 - 『진고(眞誥)』의 공간상상력을 중심으로
    김수연 [2014]
  • <歸去來辭>와 李仁老 <和歸去來辭>의 比較硏究
    김주순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