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후설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선행 인접 자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 후설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선행 인접 자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 factor influencing the pronunciation
  • acoustic phonetic analysis
  • adjacent preceding consonant
  • back vowels
  • formant frequency
  • vowel space
  • 모음 공간
  • 발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선행 인접 자음
  • 음향음성학적 분석
  • 포먼트주파수
  • 후설모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 0

0.0%

' 한국어 후설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선행 인접 자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 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and Historical Trace of Kinship Terms in the Hwang-hae and North Kang-won Dialects)
    곽충구 [1995]
  •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곽충구 [2003]
  • 현대 서울말의 모음 음가 (Phonetic Value of Vowels in Modern Seoul Dialect)
    이현복 [1971]
  •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이향원 [2017]
  •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연령별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김순옥 [2015]
  • 한국어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연구(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이현복 [1983]
  • 표준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구 (An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Study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f Simple Vowels in Standard Words)
    정일진 [1997]
  • 충청, 경기방언의 현지조사 과정과 반성 (Field Research Process and Reflection of Chungcheong, Gyeonggi Dialect)
    곽충구 [1983]
  • 중설모음 /어/의 음가-국어 모음의 X선 실험 보고 (The Sound Value Central Vowel /ㅓ/-The Repot Effects for the Korean Vowel through X-ray Experimentation)
    김영송 [1959]
  • 중부방언의 특징과 그 성격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Dialect and Its Character)
    곽충구 [1997]
  • 음향음성학 파라미터를 사용한 비음 위치 검출
    이석명 [2012]
  • 음성적 모호성과 의미기능적 유사성에 기인한한국어 모음의 융합
    박재익 [2018]
  • 어두 유음의 음성적 실현에 관한 연구 - 인접 모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조남민 [2015]
  • 서울말의 모음체계 (Vowel System of Seoul Dialect)
    이현복 [1971]
  • 서울 토박이말의 홀소리 조직에 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Vowel System of Native Seoul Dialect)
    김정수 [1998]
  • 서울 방언 단모음의 연령별 실현 양상
    장혜진 [2015]
  •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강지은 [2016]
  • 남북한의 모음분석 (Acoustic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Vowels)
    강순경 [1996]
  • 국어 유음(Liquids)의 음성학적 연구-주로 음성분석기를 중심으로 (Phonetic Studies of Korean Liquids-Focused on Speech Analysis)
    김무식 [1991]
  • 구례지역어의 음운 체계
    이승재 [1980]
  • 공기역학자료를 이용한 한국어와 영어 비음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이상도 [2007]
  • 『한국어 모음 ‘ㅡ’의 음가 변화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송창헌 [2005]
  •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 연구」
    문승재 [2007]
  • 「/ㅓ/의 음성 실현과 그 실현 조건」
    김현 [2008]
  •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연구’
    조성문 [2003]
  • The Phonetic Bases of Speaker Recognition
    Nolan [1983]
  •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Kent. R. D. [2002]
  • Some Experiments on the Perception of Synthetic Speech Sounds
  • Recognition of vowels from information in fricatives: Perceptual evidence of fricative‐vowel coarticulation
  • PDF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F1/F2 모음공간에서의 음향변수를 중심으로
    성철재 [2004]
  • Major trends in vowel system inventories
  • Instrumental Study of the Allophonic Variation of /l/ in RP
    Al-Bamerni [1975]
  • Compensatory Articulation during Speech: Evidence from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Vocal-tract Shapes using an Articulatory Model
    Maeda, S [1990]
  • An Acoustic Study on the Production of /o/ and /u/ in South Kyungsang Korean
    최욱경 [2019]
  • An Acoustic Study of Relative Articulatory Positions of English Vowels and Korean Vowels
    Ahn, S. W [2001]
  •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English Consonants
    Lehiste, I [1964]
  • Acoustic measures for linguistic features distinguishing the semivowels /w j r l/ in American English
  • Acoustic Properties of Stop Consonants
    M. Halle [1957]
  •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Yang, B. [1996]
  • A Naturalistic Approach the Language (1): With Respect to a Philoshphical Perspective and a Contrastive Phonetic Study Regarding F1/F2 Vowel Analysis Across 4 Languages
  • A Corpus-based Study of Positional Variation in Seoul Korean Vowels
    Kang, Y [2014]
  • 20세기 초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한정임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