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일상에 대한 텍스트로서 자기연구 :코로나 기록을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재난 일상에 대한 텍스트로서 자기연구 :코로나 기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VID-19
  • Corona19
  • Disaster record
  • Interpretation
  • Self-study
  • Story
  • 이야기
  • 자기연구
  • 재난기록
  • 해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520 0

0.0%

' 재난 일상에 대한 텍스트로서 자기연구 :코로나 기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 재난의 특성과 재난관리
    김용균 [2018]
  • 한국 재난 인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근대 이전 시기 역사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고태우 [2020]
  • 코로나19 재해 거버넌스에 관한 한일 비교분석
    김영근 [2020]
  • 코로나19 이후 국제정세와 한국의 전략
  • 코로나19 대구 시민의 기록 -그때에도 희망을 가졌네
    신중현 [2020]
  • 코로나 사피엔스
    최재천 [2020]
  •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김영천 [2015]
  • 질병관리청
  • 재난의 통치, 통치의 재난
    이동연 [2014]
  • 재난의 시간을 살아간다는 것
    정정훈 [2014]
  • 재난심리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홍수 피해자의 경험분석
    배정이 [2015]
  • 재난과 교차하는 서사: 역사 기록 속 재난 읽기의 방법
    한순미 [2020]
  • 재난, 그리고 절규의 공동체
    이종찬 [2014]
  • 재난 이후 인문학적 실천 — 세월호의 ‘바람’에게
    한순미 [2020]
  • 자기연구(Self-Study)의 방법적 탐구
    박창민 [2017]
  • 인간과 그 밖의 것들
    송은경 [2005]
  • 이 폐허를 응시하라: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정해영 [2012]
  • 유아 내러티브 교육의 교육학적 조건과 함의
    김봉석 [2012]
  • 위험사회
    홍성태 [2019]
  • 왜 ‘재난’인가?-재난에 대한 이론적 검토
  • 수렁속에서도 별은 보인다 –희망을 위한 아포리즘
    강준만 [2020]
  • 쇼크 독트린: 자본주의 재앙의 도래
    김소희 [2008]
  • 동아시아 재난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의 모색
    강희숙 [2020]
  • 당신의 이야기는 무엇입니까 –베이비부머 세대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희망의 노년 길 찾기
    김찬호 [2018]
  • 글로벌 위험사회
    박미애 [2009]
  • “내러티브 탐구와 인간 경험의 이해.”
    장사형 [2014]
  • Epidemics and Society –from the black death to the present
    Snowden, F. [2020]
  • 1987.6. 대구, 6월의 함성과 미래의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