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다문화공생사회와 재일코리안의 역할: 에루화, 무지개회, 재일코리안청년연합, 코리아NGO센터를 사례로

이지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일본의 다문화공생사회와 재일코리안의 역할: 에루화, 무지개회, 재일코리안청년연합, 코리아NGO센터를 사례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Zainichis
  • chauvinism
  • multiculturalcoexistence
  • solidarity
  • zainichi koreans
  • 다문화공생
  • 배외주의
  • 연대
  • 자이니치
  • 재일코리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25 0

0.0%

' 일본의 다문화공생사회와 재일코리안의 역할: 에루화, 무지개회, 재일코리안청년연합, 코리아NGO센터를 사례로' 의 참고문헌

  • 한일관계 50년, 갈등과 협력의 발자취
    조세형 [2015]
  • 트랜스보더 민족주의와 재일한인 여성의 국적 문제
    이지영 [2018]
  •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다문화정책 한일비교연구 - 안산(安山)시와 가와사키(川崎)시를 중심으로 -
    송석원 [2011]
  • 전후일본 70년과 복수의 평화주의-SEALDs의 운동과 정동-
    조경희 [2016]
  •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공간과 정체성의 정치 - KEY의 문화적 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
    문재원 [2011]
  • 일본의 이주자정책이 여성이주에 미치는 영향: 출입국관리정책, 이주노동자정책, 통합정책을 중심으로
    이지영 [2012]
  • 일본의 이주민 동향과 배외주의 현상
    이혜진 [2019]
  • 일본의 단일민족국가관에서 다문화공생으로의 인식변화와 다문화공생의 거버넌스
    정미애 [2011]
  • 일본의 다문화정책 변용과 그 함의 : 우경화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이면우 [2015]
  • 일본의 다문화사회로의 사회공간적 전환과정과 다문화공생 정책의 한계
    최병두 [2011]
  • 일본의 다문화공생 담론과 아이덴티티 재구축
    한영혜 [2006]
  •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을 사례로 본 사회통합정책의 과제
    조현미 [2009]
  • 일본의 ‘다문화공생’ 담론과 재일코리안의 사회운동
    황익구 [2018]
  • 일본 ‘재특회’(在特會)의 혐한·배외주의
    이규수 [2014]
  • 글로벌 도시 도쿄도의 이주자정책의 특징 - 신주쿠구(新宿区)와 오타구(大田区)를 사례로 -
    이지영 [2016]
  • 民族祭りの創造と展開
  • 日本的多文化共生の限界と可能性
  • 日本の地方自治体の多文化共生の現在と今後
  • 日本の「多文化共生」概念の批判的考察
  • 日本における多文化共生とは何かー在日の経験から
  • 批判的想像力のために
  • 序: 多文化共生の現状と課題
  • 多文化共生事例集-多文化共生推進10年 共の開く地域の未来
  • 多文化共生と人権-諸外国の「移民」と日本の外国人
    近藤敦 [2019]
  • 外国人住民調査報告書
  • 地域社会における多文化共生の生成と展開, そして, 課題
    金侖貞 [2011]
  • 在日朝鮮人の民族まつりにおける多文化共生実践-東九条マダンにみる<存在の政治>戦略
  • 在日朝鮮人に関する総合調査研究
    朴在一 [1957]
  • 在日外国人をどう受け入れていくのか-多文化共生社会の課題と展望
    近藤敦 [2009]
  • 在日同胞社会
  • 令和元年6月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 この国の不寛容の果てに: 相模原事件と私たちの時代
  • 「共生」の源流を訪ねて:在日コリアンの社会運動と実践から
  • 「共生」の内実:批判的社会言語学からの問いかけ
  • 「共生」のかたち-外国人集住ニュータウンの諸相
  • ‘해방의 언설’로서의 디아스포라와 재일코리안의 실천 : 재일코리안청년연합(KEY)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봉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