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우울증상담센터 대상자 특성에 근거한 서비스 체계 고찰 및 개선 방안 - 난임 환자 중심으로 -

논문상세정보
' 난임·우울증상담센터 대상자 특성에 근거한 서비스 체계 고찰 및 개선 방안 - 난임 환자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unseling system
  • Infertility
  • Risk factor
  •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depression
  • in vitro fertilization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678 0

0.0%

' 난임·우울증상담센터 대상자 특성에 근거한 서비스 체계 고찰 및 개선 방안 - 난임 환자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안제용 [2013]
  •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최홍석 [2007]
  • 정부 난임부부 지원사업 참여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나미 [2015]
  • 어머니의 출산 전 우울과 임신 시 느낌이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모교육 경험유무를 중심으로
    성다겸 [2017]
  • 어머니의 산전과 산후 우울증이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귀옥 [2018]
  • 어머니 취업과 우울, 모유수유 기간과 유아기 체질량지수 궤적과의 관계
    김지형 [2020]
  • 불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과 심리사회적 개입의 효과
    이지화 [2013]
  • 불임 남성의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간의 관계
    박점미 [2020]
  •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혜신 [2020]
  • 난임 치료 과정 중인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우울 및회복탄력성
    김미옥 [2016]
  •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황나미 [2013]
  • 난임 여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심리사회적 요인
    이영선 [2019]
  •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강은영 [2015]
  • 난임 여성의 난임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김윤미 [2020]
  • 난임 상담 체계 개발을 위한 전문가 포커스그룹면접 연구
    최승미 [2020]
  • 난임 상담 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난임 상담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이영선 [2020]
  • “산후 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 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강민철 [2012]
  •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 the PHQ primary care study
    Spitzer RL [1999]
  • Strategies of infertility counselling program of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 in Korea
    Hwang NM [2015]
  • Status of IVF clinic
  • Statistical database; population, households and housing units
  • Prenatal parental depression and preterm birth : a national cohort study
    Liu C [2016]
  •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 prospective study of 264 women follow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Gaillard A [2014]
  •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postpartum mental health
    Lee SY [2017]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2020-147
  • Measures to improve actual conditions and systems for infertility support, such as expanding infertility treatment
    Hwang NM [2019]
  • Manual for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 Interventions to prevent perinatal depression :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Curry SJ [2019]
  • ESHRE guideline : routine psychosocial care in infertility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a guide for fertility staff
    Gameiro S [2015]
  •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contribution of stress and ovarian hormones
    Brummelte S [2010]
  •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21 (DASS-21) in the Korean working population
    Jun D [2018]
  • Adaptive coping strategies in male infertility, paramedical counselling as a way of support
    Szatmári A [2020]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stress scale
    Kim SH [1995]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counseling delivery system
    Kwon JH [2016]
  • 2019 Maternal and Child Health Project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