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uditory-perceptual voice evaluation
  • Connected speech
  • Glottal closure pattern
  • Sustained vowel
  • Voice disorder
  • cepstralanalysis
  • 모음연장발성
  • 성대접촉 양상
  • 연속발화
  • 음성장애
  • 청지각적 음성평가
  • 캡스트럼 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6 0

0.0%

'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의 참고문헌

  • 후두마사지와 반폐쇄성도훈련이 과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지성 [2017]
  • 음성장애와 샘플유형에 따른 GRBAS 측정치 및 shimmer 비교
    신유정 [2011]
  • 음성장애 선별검사 도구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성 녹음의 임상적 유용성
    이승진 [2018]
  • 음성 신호 분류에 따른 장애 음성의 변동률 분석, 비선형 동적 분석, 캡스트럼 분석의 유용성
    최성희 [2014]
  • 온·오프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이 과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이하나 [2019]
  • 연결발화에서 마비말화자의 음질 특성
    서인효 [2013]
  • 신경성 발성장애와 기능성 발성장애의 감별 진단
    김소연 [2017]
  • 성대결절 음성 중증도에 따른 MDVP와 Praat 프로그램 별 파라미터 차이
    심상용 [2014]
  • 모음과 연속 구어에 대한 청지각 평가와 음향학적 분석에 대한 비교
    이명순 [2010]
  • 모음과 연결발화에서 캡스트럼 음향 지표의 정상 및 음성장애 예측
    유미옥 [2018]
  • 내전형연축성 발성장애 음성에 대한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
    심희정 [2016]
  • Voice disorder: scope of theory and practices
  • Vocal fold mucus aggregation in persons with voice disorders
  • Use of spectral/cepstral analyses for differentiating normal from hypofunctional voices in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contexts
    Watts CR [2011]
  • Treatment efficacy: voice disorders
    Ramig, L. O [1998]
  • Transforming high-effort voices into breathy voices using adaptive pre-emphasis linear prediction
  • The voice and voice therapy
    Boone, D. R [2014]
  • The reliability and sensitivity to change of acoustic measures of voice quality
  • The relationship between cepstral peak prominence and selected parameters of dysphonia
  • The effect of voice therapy for functional voice disorder
    Chung, S. M [2002]
  • Task specificity in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versus muscle tension dysphonia
    Roy, N [2005]
  • Spectral- and cepstral-based acoustic features of dysphonic, strained voice quality
  • Predictive value and discriminant capacity of cepstral- and spectral-based measures during continuous speech
    Lowell SY [2013]
  • Perceptual and acoustic correlates of abnormal voice qualities
  •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honia
    Jin, S. M [2014]
  • Mucosal wave measurements in the diagnosis of functional dysphonia
  • MDVP와 Praat, Dr. Speech간의 음향학적 측정치에 관한 상관연구
  • GRBAS and Voice Handicap Index
    Sohn, J. H [2008]
  • Electroglottography in the diagnosis of functional dysphonia
  • Diagnostic effectiveness of cepstral and spectral analysis in understanding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Shim, H. J [2016]
  • Cepstral analysis of voice in persons with vocal nodules
    Kumar, B. R [2009]
  • Assessment of dysarthria
    Kim, H. [2005]
  • Analyzing vocal quality of connected speech using Kay’s computerized speech lab : a preliminary finding
    Yui, E [2000]
  •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ular tension dysphonia : acoustic analysis of sustained phonation and reding
  • Acoustic prediction of severity in commonly occurring voice problems
    Wolfe, V [1995]
  • Acoustic discrimination of pathological voice: sustained vowels versus continuous speech
    Parsa, V [2001]
  •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 Dysphonic voices and continuous speech
  •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epstral peak prominence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
    Lee, R. H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