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 성별을 중심으로

홍원준 2020년
'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 성별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ender
  • latent profile analysis
  • learning attitude
  • smartphone
  • 성별
  • 스마트폰
  • 잠재프로파일분석
  • 학업태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72 0

0.0%

'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 성별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자영 [2012]
  •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박병기 [2015]
  • 콘텐츠 창구로서의 TV와 모바일의 매체 소비 비교
    원종원 [2020]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석규 [2015]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과의존, 게임중독, SNS 중독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승구 [2019]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 인의 비교 연구
    이상준 [2015]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부모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성별 접근
    김경미 [2014]
  •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선우 [2015]
  • 청소년의 또래소외와 휴대전화 의존 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김현순 [2014]
  • 청소년기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인균 [2016]
  •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 조사
    배상률 [2013]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의존도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이정민 [2016]
  • 오락, 편의, 정보추구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장윤재 [2020]
  •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을 중심으로
    진미령 [2016]
  • 아동의 스마트 기기 사용패턴에 따른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 사용패턴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스마트기기 중독
    오소정 [2020]
  • 스마트폰의 사용자 수용 모형에 관한 연구
    권연선 [2013]
  •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조세경 [2009]
  •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김용 [2011]
  • 스마트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청소년 성별에 따른 사용행태의차이 로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주연 [2016]
  •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문종훈 [2019]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외로움의 조절효과
    고민정 [2020]
  •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스마트폰 앱 활용 방안
    허지민 [2019]
  • 고교 청소년의 휴대폰 활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가구관여의 완화효과를 중심으로-
    이왕원 [2015]
  •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dependence of Korean adolescents: National survey study
    Bae, S. M. [2017]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not make him learn: Smartphone use in higher education
  • Worry and anger are associated with latent classes of problematic smartphone use severity among college students
  • When social networking is not working: Individuals with low self-esteem recognize but do not reap the benefits of self-disclosure on Facebook
  • What Type of Content Are Smartphone Users Addicted to?: SNS vs. Games
  •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motivations of volunteers : a functional approach
  • The cell phone in the twenty-first century: A risk for addiction or a necessary tool
  • Smartphones usage in the classrooms: Learning aid or interference?
    Anshari, M. [2017]
  •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Prevalence,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game use
    Cha, S. S. [2018]
  • Robustness of stepwise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ntinuous distal outcomes
    Bakk, Z. [2016]
  •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usage, addiction,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 study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India
  • Problematic internet and cell-phone use :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health correlates
    Jenaro C [2007]
  • Mplus user’s guide
  •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variates: Two improved three-step approaches
  • Investigating predictors of smartphone dependency symptoms and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improper phone use and perceived sociability
    Lin, T. T. [2017]
  • Encyclopedia of human relationships
    Wood, J. V. [2009]
  • Effects of presentation modes on mobile-assisted vocabulary learning and cognitive load
    Lin, C. C. [2017]
  • Data analysis with Mplus
    Geiser, C. [2013]
  • An introduction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statistical analyses for sport and exercise scientists
  •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