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정책 결정 원리의 변화 필요성: Dewey의 ‘직접적 인식’과 ‘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정철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정책 결정 원리의 변화 필요성: Dewey의 ‘직접적 인식’과 ‘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ppreciation
  • dewey
  • educational policy
  • qualitative deliberation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1 0

0.0%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정책 결정 원리의 변화 필요성: Dewey의 ‘직접적 인식’과 ‘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학교혁신의 패러독스
    서근원 [2012]
  • 질적 연구와 교육
  • 정치논리, 경제논리와 비교해 본 교육논리의 특징
    김기민 [2009]
  • 정책실패를 가져 온 정치적 관리요인은 무엇인가?:국가영여능력평가시험(NEAT) 백지화 사례를 중심으로
    구주영 [2017]
  • 유럽학문의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Husserl, E. [1997]
  • 듀이의 교육적 가치 이론과 오래된 미래 학교 - 미래교육 담론에 대한 성찰 -
    양은주 [2019]
  • 교육행정 혁신의 과제
    송병춘 [2013]
  • 교육운영의 관료제 비판: 관료제와 교육적 규범의 상충성
    허병기 [2005]
  • 교사 문화 속 허무주의 분석: 예술적 경험의 박탈과 이분법적 관조의 탄생
    정철희 [2020]
  • 과도한 국가주도형 교육행정의 문제점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이성호 [2011]
  • [단행본]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
    이종하 [2007]
  • The Essential Dewey Vol.1
    Dewey, J. [1998]
  • The Art and Craft of Teaching
  • John Dewey
  • Human Nature and Conduct
    Dewey, J. [2018]
  • Democracy and Education
    Dewey, J. [1958]
  • Art as Experience
    Dewey, J.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