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보선 2020년
' 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assive Expression
  •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Korean Language Curriculum
  • Learners’ Use of Passive Expression
  •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ing on Function
  • 국어과 교육과정
  • 기능 중심 피동 표현 교육
  • 피동 표현
  • 학습자들의 피동 표현 사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6 0

0.0%

' 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대 국어 피동 연구
    이정택 [2004]
  • 한국어 피동문의 문법적 연구
    남수경 [2007]
  • 한국어 문법 총론I
    구본관 [2015]
  • 피동형 기자들
    김지영 [2011]
  • 피동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 고등학교 『문법』교과서를 중심으로
    이경미 [2011]
  • 표현 어휘 신장 교육 연구
    강보선 [2013]
  •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주세형 [2005]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제민경 [2011]
  • 일본어 투 문장 표현
    정광 [1995]
  •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구본관 [2011]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2018]
  • 소위 이중피동문에 대하여
    전영철 [2008]
  •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남가영 [2009]
  •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이관희 [2010]
  •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남가영 [2008]
  •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오현아 [2012]
  • 동기화에 기초한 피동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정병철 [2016]
  • 글쓰기 수업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김지혜 [2019]
  • 국정 문법교과서의 피동법 기술에 대한 고찰
    왕문용 [2006]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 국어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05])
  •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5])
  • 국어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5])
  •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과 문법 교육의 과제
    민현식 [2006]
  • 국어 피동 표현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이국화 [2007]
  •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김은성 [2006]
  •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피동에 관한 국어학적 고찰
    김윤신 [2017]
  • 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 문법론
    이관규 [2005]
  • 국어 교과서의 외국어 번역투에 대한 종합적 고찰
    김정우 [2003]
  • 고등학교 문법
  •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 고등학교 국어
    류수열 [2018]
  • 고등학교 국어
    박안수 [2018]
  • 고등학교 국어
    박영목 [2018]
  • 고등학교 국어
    이삼형 [2018]
  • 고등학교 국어
    신유식 [2018]
  • 고등학교 국어
    이성영 [2018]
  • 고등학교 국어
    김찬기 [2018]
  • 고등학교 국어
    김동환 [2018]
  • 고등학교 국어
    박형우 [2018]
  • 고등학교 국어
    노철 [2018]
  • 고등학교 국어
    최원식 [2018]
  • 강원국의 글쓰기
    강원국 [2018]
  •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
    남기심 [2019]
  • ‘잊혀진 계절’의 문법성과 교육적 함의
    김중수 [2015]
  • ‘-게 되다’의 의미와 분포 -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
    김정남 [2009]
  • Language and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2
  • (고등학교) 국어
    민병곤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