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性毁節敍事 다시 읽기: 諧謔과 諷刺에 가려진 女性嫌惡

송소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男性毁節敍事 다시 읽기: 諧謔과 諷刺에 가려진 女性嫌惡'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ender Critics
  • Homo Social
  • Misogyny
  • Narratives about Breaking the Will of a Man
  • Ueno Jizuko
  • gisaeng
  • 男性毁節敍事
  • 기녀
  • 우에노지즈코
  • 젠더 비평
  • 호모소셜
  • 女性嫌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3 0

0.0%

' 男性毁節敍事 다시 읽기: 諧謔과 諷刺에 가려진 女性嫌惡' 의 참고문헌

  • 「배비장전」유형의 소설연구
    김종철 [1985]
  • 「배비장전」 연구
    권두환 [1979]
  • 「烏有蘭傳 연구: 입사식의 서사적 수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곽정식 [1985]
  • 女性嫌惡를 혐오한다
  • 훼절소설에 나타난 기생의 형상
    박길희 [2008]
  •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윤지영 [2016]
  • 한국문헌설화 4
    金鉉龍 [1999]
  •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 구술서사에 나타난 '여성혐오(misogyny)’의 논리와 서사 전략 분석 -
    김영희 [2018]
  • 필기, 야담에 형상화된 기생의 면모와 그 번역학적 의미
    신상필 [2015]
  • 조선후기 훼절소설의 변이양상과 사회적 의미 上, 下
    박일용 [1988]
  • 조선후기 기녀제도의 변화와 京妓
    강명관 [2009]
  • 조선 후기 남성훼절 서사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 -情念 담론에서 利益 담론으로-
    윤채근 [2008]
  • 젠더 비평: 메타 비평으로서의 고전 독해
    최기숙 [2006]
  • 정남훼절담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余世柱 [1989]
  • 정남훼절 설화의 유형성과 그 의미
    余世柱 [1989]
  • 이조해학소설선
    金起東 [1975]
  • 역주 조선후기 세태소설선
    申海鎭 [1999]
  • 여자들의 사상 : 뜨겁게 생각하고 거침없이 행동하라
    최은영 [2015]
  • 성적’ 인간의 발견과 ‘욕망’의 수사학 -18·19세기 야담집의 ‘기생 일화’를 중심으로
    최기숙 [2002]
  • 남성훼절소설의 실상과 의미
    李元洙 [1989]
  • 남성훼절소설의 섹슈얼리티 연구
    신민지 [2017]
  • 나는 기생이다–『消愁錄』읽기
    정병설 [2007]
  • 고전풍자소설개관
    李石來 [1978]
  • 고전소설 연구의 방향
    趙東一 [1985]
  • 고소설에 나타난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현 양상
    조혜란 [2005]
  • 감정과 이성의 역학, 인간학으로서 훼절소설
    정혜경 [2017]
  • 讓寧大君을 素材로 한 韓國最初의 戀愛小說發掘: 丁香傳: 資料調査硏究室 第64次 發掘作品
    金起東 [1983]
  • 『於于野談』 소재 妓女譚의 形象化 硏究
    유권석 [2012]
  • 「조선가부장제의 성적 욕망과 기녀」
    강명관 [2007]
  • ‘남성’ 섹슈얼리티 신화의 서사적 계보 탐색
    김영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