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공간에서 ‘순수’예술이 갖는 함의: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김경아 2020년
' 정책공간에서 ‘순수’예술이 갖는 함의: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RKO Archive
  • Basis Art
  • Ideology of cultural Policies
  • Kim Dae-Jung Regime
  • Military Regime
  • Music
  • Music Policy
  • Sonsu Art(Pure Art)
  • culture contents
  • participatory government
  • 국민의정부
  • 기초예술. 군사정권
  • 문예연감
  • 문화정책이념
  • 문화콘텐츠
  • 순수예술
  • 음악
  • 음악정책
  • 참여정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42 0

0.0%

' 정책공간에서 ‘순수’예술이 갖는 함의: 음악장르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서울音樂祭(음악제)」행사기금 마련못해 中斷(중단)위기
  • 「7.7」宣言(선언) (5) 「同伴(동반)외교」로 民族自尊(민족자존) 복원
  • 「7.7」宣言(선언) (2) 分斷(분단)극복 可視的(가시적) 접근
  • 樂壇(악단)은 統合(통합)되었다 座談會(좌담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5년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홈페이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40년사
  • 한국 예술 문화단체 총연합회 연내로 결성
  • 한국 문화정책의 대상과 전략의 변화 - 1988-2012 -
    배관표 [2013]
  • 풍성한 音樂(음악)잔치 내달 幕(막)오를「大韓民國音樂祭(대한민국음악제)」
  • 평양 울린 민족가락 서울까지 퍼져 9~10일 '90 송년통일전통음악회'
  • 탈냉전 시대의 국제질서 미․소 화해-동서 대결구조 소멸
  • 진보적 문예운동의 형성과 전개 :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을 중심으로
    이명원 [2010]
  • 중앙국립극장 올해 海外公演(해외공연)계획 50일 日程(일정) 13個國(개국) 순방
  • 제5회 한라문화제 치사
  • 제5대 대통령 취임사. 연설문집 제1집
  • 제3회 오월문예상 시상식 치사
  • 제3회 국제음악제 치사
  • 제1회 大韓民國音樂祭(대한민국음악제)
  • 제1차 문예중흥5개년계획평가
  • 제16회 개천예술제 치사
  • 정책이념과 정책의 일치도에 관한 연구-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황설화 [2017]
  • 정책기록, 「대통령지시사항송부-문화관광부업무보고(2002.2.22)시」
  • 정책기록, 「1999년도 주요업무계획(문화관광부)」 문화관광부
  • 정책기록, 대통령지시사항송부 문화관광부(2000.5.1), 건설교통부(2000.5.3), 해양수산부(2000.5.4) 업무보고시
  • 입장료에 문예진흥기금 포함은 위헌
  • 우리악단 80년 결산 27일 막올릴 서울음악제
  • 예술문(藝術文)화단체(化團體) 정치적 이용(政治的利用) 않을터
  • 연두교서. 연설문집 제1집
  • 연두 기자회견
  • 순수예술진흥계획
  • 순수예술진흥 종합계획 발표
  • 순수예술 진흥 종합계획 공연예술 분야 자문회의 결과보고
  • 성숙(成熟)한 예술문화단체(藝術文化團體) 통합(統合)
  • 새문화정책
  • 새로운 예술의 해 추진방안 연구
    양건열 [2000]
  •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순수예술행사 및 문화행사 범위에 대한 질의
  • 베를린장벽 붕괴 한돌
  • 민주화 이후 한국의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 정치적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백익 [2009]
  • 민족음악의 논리: 한국 음악인들의 현실인식과 수행
    노동은 [1990]
  • 문화콘텐츠비평: 콘텐츠 액티비즘의 가능성
    임대근 [2019]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 문화예술정책 제도변화에 관한 연구
    금성희 [2018]
  • 문화예술의 해 사업 종합평가 및 대안 모색 1991-1999
    양현미 [2000]
  • 문화예술에 대한 예산지원 효과 분석
    김동욱 [2012]
  • 문화계 보수․진보 손잡고, 기초예술 살리자
  • 문예중흥 어디까지 왔나
  • 문예연감, 1976년부터 2020년까지 목차와 음악목차, 1977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3년, 1990년, 1991년, 2008년의 음악총서
  • 메아리 없는「국민개창운동(國民皆唱運動)」
  • 다함께 노래부르기(국민개창운동)실시에 관한 건(제38회)
  • 노래의 메아리(국민개창운동)계획(제75회)
  • 남과 북 민족음악 통일염원 연주 '범민족통일음악회' 서울연주단 오늘 평양으로
  • 기초예술진흥법 제정을 위한 TF 운영계획
  • 기초예술 육성을 위한 문예진흥기금의 효율적 지원방안 연구
    장인태 [2006]
  • 기초 예술과 문화산업의 연계방안 연구
  • 근대성의 침략과 20세기 한국의 음악
    전지영 [2005]
  • 국민 대합창운동 계획 마련, 문공부 건전가요 제정보급도
  • 국가폭력에 대한 음악 텍스트-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
    변지연 [2006]
  • 국가법령센터
  • 공보부 노래의 메아리운동 노래부르기
  • 건전가요보급협회 문공부서 구성
  • 개천예술제 치사
  • 개막앞둔 제2회 大韓民國(대한민국)음악제 意義(의의)와 특징 「우리音樂(음악)」中興(중흥)의 발돋움
  • 音樂(음악)과 政治(정치)
  • 近代小說의 장르分化와 演說의 미디어적 連繫性 硏究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홍순애 [2009]
  • 第一回(제일회) 서울國際音樂祭典(국제음악제전)
  • 滿身瘡痍(만신창이)┈國際音樂祭(국제음악제)
  • 安益泰(안익태)씨를 공개「성명」으로 비난한「피터․니콜로프」씨
  • 國際音樂祭中斷(국제음악제중단)에 서울市(시)서責任(책임)지라
  • 光州事態(광주사태)에 대한 戒嚴司(계엄사)발표 全文(전문)
  •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정갑영 [1993]
  • 『藝總(예총)』 會舘建立(회관건립)
  • 「예술지원정책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예산분석을 중심으로」
    이민아 [2018]
  • ‘세련된’ 음악의 탄생: 1950~1960년대 클래식 장르의 감정 정치
    최유준 [2019]
  • 2005 문화정책백서
  • 2002 문화정책백서
  • 1990년대 이후 한국 문화정책의 ‘문화’ 이해 변화 과정
    염찬희 [2009]
  • 1971년도 예산안 제출에 즈음한 시정 연설
  • 1960_70년대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오명석 [1998]
  • 1950년대 양악작곡가들이 상상한 국민음악: ‘국민’과 ‘민족’ 사이에서
    김은영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