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 초기 장편소설의 여성/문학사적 위치—전쟁, 여성, 선정주의는 어떻게 여성문학의 전통이 되었나

김양선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박경리 초기 장편소설의 여성/문학사적 위치—전쟁, 여성, 선정주의는 어떻게 여성문학의 전통이 되었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emale tradition
  • gender
  • melodrama
  • popular literature
  • prototext
  • sensationalism
  • war
  • 대중문학
  • 멜로 드라마
  • 선정성
  • 여성전통
  • 전쟁
  • 젠더
  • 프로토텍스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70 0

0.0%

' 박경리 초기 장편소설의 여성/문학사적 위치—전쟁, 여성, 선정주의는 어떻게 여성문학의 전통이 되었나' 의 참고문헌

  • 향토 멜로드라마와 여성의 위치성: 박경리의 <파시(波市)>를 중심으로
    김양선 [2017]
  •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김양선 [2008]
  • 포스트 한국 전쟁과 여성적 숭고의 글쓰기 − 박경리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은하 [2017]
  •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 페미니스트 비평과 여성문학
  • 탕녀의 운명과 저항 - 박경리의 『성녀와 마녀』에 나타난 성 담론 수정양상 읽기
    이상진 [2007]
  •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 ―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양선 [2011]
  • 전후 여성 지식인의 표상과 존재방식 - 박경리의 『표류도』론
    김양선 [2009]
  • 운명의 패러독스, 박경리 소설의 비극적 인간상
    이상진 [2014]
  • 예외를 보는 시선과 더블: 박경리 소설의 결손 인물
    이상진 [2015]
  •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이임하 [2004]
  • 박경리와 전쟁
    유임하 [2018]
  •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벤 싱어 [2009]
  • 멜로드라마와 4.19 혁명의 서사적 절합 -박경리의 1960년대 대중연애소설 『푸른 운하』, 『노을 진 들녘』 다시 읽기
    김양선 [2020]
  • 동시대의 시와 진실
    유종호 [1995]
  • [단행본] 환상의 시기(박경리 문학전집10)
    박경리 [1980]
  • 4.19 혁명의 재현과 여성 시민권의 창출 -박경리와 손장순의 장편소설을 중점으로
    강지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