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과 「속미인곡」에 나타난 여성화자의 정체성 비교

고정희 2020년
'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에 나타난 여성화자의 정체성 비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ungnyeo (palace maid)
  • chinesewords
  • female speaker
  • humilis
  • identity
  • koreanvernacular
  • positioning theory
  • samiingok
  • sok-mi-in-gok
  • woman of Neo-Confucian literati class
  • 궁녀
  • 낮음(후밀리스)
  • 사대부 여성
  • 순수 국어(토착어)
  • 여성화자
  • 정체성
  • 지위부여 이론
  • 한자어
  • 「사미인곡」
  • 「속미인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40 0

0.0%

'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에 나타난 여성화자의 정체성 비교' 의 참고문헌

  • 한중록
  • 한국민속대관 제2권
  • 한국문학통사 제3권
    조동일 [2005]
  •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박일용 [1992]
  • 청성집 권8 書坯窩所譯思美人曲後
  • 청성 성대중의 문학활동과 문학론
    손혜리 [2000]
  • 중세의 여성 독자
    이혜민 [2017]
  • 중세 여성의 문자 생활 -영국의 마리 드 프랑스의 브레톤 레이를 중심으로
    윤주옥 [2012]
  • 중국시가의 이미지: 詩歌意象論-의상, 상을 세워 뜻을 표현하다
    임준철 [2013]
  •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이종묵 [2007]
  • 조선 전·중기 시가의 양층언어 문학사—우리말노래와 한시 비교를 중심으로—
    정소연 [2014]
  • 정철의 「전후미인곡」과 굴원의 「이소」의 비교연구
    풍지 [2018]
  • 자기록
    김경미 [2014]
  • 인현왕후전
    정은임 [2004]
  • 여사서
    왕상 [2003]
  • 언어적 자아 형성: 중세 고해신부의 라틴어 권위와 여성 신비주의자의 자국어 인식
    강지수 [2008]
  • 순오지
    홍만종 [1971]
  • 송강가사의 수용론적 연구
    김진희 [2009]
  • 송강가사의 수용과 맥락
    김진희 [2016]
  • 송강가사 전승사실의 맥락
    윤덕진 [2007]
  • 송강가사
    장정수 [2006]
  •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 다시 읽기
    조하연 [2016]
  • 송강 정철의 시문학
    김갑기 [1997]
  • 송강 정철 시가의 수용사적 탐색
    최규수 [2002]
  • 서포만필 하
    김만중 [2010]
  • 병자일기-노부인, 일상을 기록하다
  • 동양, 서양, 그리고 아름다움
    류중하 [1999]
  • 내훈
  • 국역 송강집
  • 고전시가론
    정재호 [1984]
  • 계축일기의 작가문제와 역사소설적 성격
    정병설 [1999]
  • 계축일기
    정은임 [2005]
  • 가사의 언어와 의식
    조세형 [2008]
  • 韓中 戀君文學 비교 연구- 屈原의 〈離騷〉와 鄭澈의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최상은 [2010]
  • 『선조수정실록』 27권, 선조 26년 12월 1일 경술 4번째 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21년 전인성부원군 정철의 졸기
  • 『계축일기』에 실현된 언어적 특징 연구
    황국정 [2017]
  • Visions of Inclusion: Universal Salvation and Vernacular Theology in Pre-Reformation England
    Watson, N. [1997]
  • Positioning : The Discursive Production of Selves
    Davies, B. [1990]
  • Positionality as Knowledge : From Pedagogy to Praxis
  • Identity and interaction: A sociocultural linguistic approach
  • Gender Articulated: Language and the Socially Constructed Self
    Ochs, E. [1995]
  • Diglossia
  • Conceptions of the Word : the Mother Tongue and the Incarnation of God
    Watson, N. [1997]
  •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식
    이승복 [2017]
  • 15.16세기 한국 여성화자 시가의 의의
    이혜순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