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6·25 전쟁 중 인명 피해와 민간인 학살에 대한 서술 검토

김상훈 2020년
' 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6·25 전쟁 중 인명 피해와 민간인 학살에 대한 서술 검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6 · 25전쟁
  • History education
  • Korean history textbook
  • National curriculum
  • National guidance alliance.
  • civilianmassacre
  • korean war
  • 교육과정
  • 국민보도연맹
  • 민간인 학살
  • 역사교육
  • 한국사 교과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95 0

0.0%

' 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6·25 전쟁 중 인명 피해와 민간인 학살에 대한 서술 검토' 의 참고문헌

  •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박진동 [2010]
  • 한국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학살사건의 배경과 구조
    정병준 [2004]
  • 한국일보
  •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김한종 [2014]
  • 한겨레
  • 통계로 본 6·25전쟁
    박동찬 [2014]
  •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Ⅰ·Ⅲ
  •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집필기준
  • 전쟁명명의 정치학: "아시아ㆍ태평양전쟁"과 "6∙25전쟁"
    김명섭 [2009]
  •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정병준 [2010]
  • 역사학습을 통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의 재개념화
    안현주 [2008]
  •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김한종 [2014]
  •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사조사 백서
  •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그 이후?
    임병철 [2016]
  • 역사교과서 검정 준거자료의 구속력과 집필자의 자율성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서양 근대 단원’을 중심으로-
    최상훈 [2019]
  • 역사과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 역사과 집필기준과 검정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조한경 [2017]
  •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대강화와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재검토
    김민정 [2014]
  • 역사과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과 과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따른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중심으로-
    박주현 [2018]
  • 사회과 교육과정
  • 사회과 교육과정
  • 북한의 한국전쟁 계획 수립과 소련의 역할
    정병준 [2007]
  • 국민보도연맹의 조직과 가입자
    김선호 [2002]
  • 국민보도연맹 사형 판결 재심 결정을 계기로 되짚어보는 보도연맹사건
    김득중 [2014]
  • 교과서 편수자료 Ⅱ
    교육부 [2017]
  • 과거의 부담과 역사교육 -홀로코스트와 독일의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김유경 [2003]
  • 검정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편향성’ 논쟁의 딜레마
    정광필 [2019]
  • 『연합뉴스』
  • 『서울신문』
  • 『경향신문』
  • ‘우리 안의 분단’을 넘어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는 역사교육 시론
    방지원 [2019]
  • ‘과거사’의 진실 규명과 역사교육 - ‘한국전쟁 전후 민간학살 사건’의 과거사 청산문제를 중심으로-
    홍순권 [2016]
  • 6·25 남북전쟁시기 이북지역에서의 민간인 학살
    이신철 [2004]
  •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양정현 [2015]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논리와 계열성
    양정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