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정혜린 2020년
'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arthy and Generous Taste
  • Ko Yu-seoup
  • Korean art culture
  • Neo-Kantianism.
  • cultural sciences
  • natural Beauty
  • 고유섭
  • 구수한 큰 맛
  • 문화과학
  • 신칸트학파.
  • 자연미
  • 한국 미술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2 0

0.0%

'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의 참고문헌

  • 후설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신호재 [2017]
  • 해방공간 예술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 1940-1960년대 한상진(韓相鎭)의 미학․미술사론을 중심으로
    홍지석 [2012]
  • 한일근대문예론에서 「정」(情)의 위치―지(知)⋅정(情)⋅의(意)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병호 [2003]
  • 한국미술사의 태두 고유섭: 그의 역할과 위치
    김영나 [2002]
  • 한국 고미술 연구에 나타난 고유섭의 예술관 고찰
    목수현 [1991]
  • 프리체의 리얼리즘관과 30년대 후반의 리얼리즘론
    하정일 [1993]
  • 조선미술사
    關野貞 [2003]
  • 조선과 그 예술
  •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서 본 ‘한국 미술’
    정혜인 [2019]
  • 일제의 식민통치와 식민주의적 근대지식의 형성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일균 [2011]
  •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박현수 [2011]
  • 식민지 관제 역사학과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역사학의 태동 - 진단학회를 중심으로
    정병준 [2016]
  • 박영희의 플레하노프 미학 수용과 문예학의 완성
    이미순 [1995]
  • 미학대계 제2권
  •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 목적론적 자연관에 대한 재검토
    박찬국 [2003]
  •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이재봉 [2009]
  • 공예문화
  • 고전 강연 4 : 근대정신과 비판
    백종현 [2018]
  • 고유섭의 미학사상에 접근하는 하나의 자세
    오병남 [2005]
  • 고유섭 해석의 제 문제
    이인범 [2005]
  • 隨想 紀行 日記 詩
    高裕燮 [2007]
  • 美學과 美術評論
    高裕燮 [2007]
  • 朝鮮美術文化史論叢
    高裕燮 [1965]
  • 朝鮮美術史 上
    高裕燮 [2007]
  • 朝鮮畫論集成
    高裕燮 [1976]
  • ‘합목적적 형식’에서 ‘살아있는 형태’로‒ 칸트 미학을 교정하고자 한 실러의 미학적 성취에 대하여
    하선규 [2014]
  • 1930年代의 美術學 振興運動
    문명대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