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강혜진 2020년
'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uunmong (The Cloud Dream of the Nine)
  • aesthetic expression
  • aesthetic feeling.
  • beauty
  • ideals
  • sensation
  • 감각
  • 구운몽
  • 미감.
  • 미적 표현
  • 아름다움
  • 이 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05 0

0.0%

'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의 참고문헌

  • 한국미의 범주 체계론을 위하여
    김수현 [2005]
  • 풍류
    신은경 [1999]
  •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서사문법과 창작의식
    송성욱 [2003]
  • 역주 법화유의
    길장 [2017]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는 조선을 어떻게 이해하고자 했는가
  • 비교문학적 측면에서의 「구운몽」 창작과 소설사적 의미
    전성운 [2001]
  • 동양미학·예술정신 이해 방법론 고찰
    조민환 [2017]
  • 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
    최귀묵 [2001]
  • 국문학과 불교
    유병환 [1997]
  • 구운몽 연구
    정규복 [2010]
  • 구운몽
  • 구운몽
    정규복 [1996]
  • 구운몽
    정길수 [2010]
  •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양상과 수용 의미
    경일남 [2014]
  •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 <구운몽>, <전우치전>, <옥루몽>을 중심으로
    강혜진 [2020]
  • 고전소설 속에 나타난 미인(美人)의 표상과 미의식
    김문희 [2016]
  • 고전서사에 나타난 외모의 문제와 심미안의 회복
    최혜진 [2016]
  •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강상순 [2017]
  • 『미학특강』
    이주영 [2011]
  • 『미적 범주에 대하여』
    김창현 [1998]
  • 『구운몽』의 형상화 방식과 소설미학
    이상구 [2007]
  • 「구운몽」에 형상화된 남녀관계의 소설사적 계보와 역사적 성격
    강상순 [2008]
  • <법화경>에 나타난 ‘백호대광(白毫大光)’의 상징성 고찰
    신용산 [2018]
  • <구운몽>의 정서 형성 방식에 대한 교육적 고찰
    황혜진 [2010]
  • 16세기 학자들의 山水와의 疏通 -天人合一의 志向을 중심으로-
    최석기 [2015]
  • '수성궁'과 '유영'으로 읽는 <운영전> - 고전소설 속 꿈의 해석에 대한 시론
    강혜진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