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가 언급한 예(禮)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

서근식 2020년
' 공자(孔子)가 언급한 예(禮)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fucius (孔子)
  • Ghost (鬼神)
  • Kejifuli (克己復禮)
  • Li(禮)
  • Lizhi(禮治).
  • Zhengming(正名)
  • lunyu(論語)
  • 공자(孔子)
  • 귀신(鬼神)
  • 극기복례(克己復禮)
  • 논어(論語)
  • 예(禮)
  • 예치(禮治).
  • 정명(正名)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3 0

0.0%

' 공자(孔子)가 언급한 예(禮)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論語譯注
    楊伯峻 [1996]
  • 주자철학의 귀신론
    박성규 [2005]
  •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박종천 [2011]
  • 예(禮)의 정신 : 예악(禮樂)문화와 정치
    류수 [1994]
  • 동양윤리사상연구
    김상래 [2018]
  • 논어의 종합적 고찰
    김영호 [2003]
  • 공자의 철학사상 : 동아시아 인문주의의 원형이 된 고대 중국의 사상가
    조원 [2013]
  • 공자의 철학 : 서양에서 바라본 예(禮)에 대한 새로운 이해
  • 공자와 예(禮)
    남상호 [2001]
  • 毛詩正義(全3冊)
  • 孔孟旬哲學
    蔡仁厚 [1984]
  • 孔子與論語
    錢穆 [1988]
  • 孔子哲學思想源流
    唐華 [1977]
  • 孔子傳
    白川靜 [1989]
  • 周禮正義 (全2冊)
  • 中國古代 喪服의 制度와 理念
    장동우 [2007]
  • 『중용장구』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안영탁 [2011]
  •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신정근 [2010]
  • 『중용』 16장 「귀신장」에 대한 비교연구 - 주자, 왕부지,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정약용을 중심으로-」
    서근식 [2004]
  • 『논어』에서 공자의 ‘禮’개념 정립에 관한 일고찰 - 『시』 ․ 『서』와 연관하여
    임헌규 [2019]
  • 『論語』의 ‘仁’에 관한 解釋學的 硏究
    서근식 [2009]
  • 『中庸』의 世界觀 - ‘천(天)ㆍ귀신(鬼神)ㆍ명(命)’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이택용 [2013]
  • ‘예’와 공자 인학
    이경무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