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생활글의 노동문학사적 맥락

김성환 2020년
' 노동자 생활글의 노동문학사적 맥락'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Jeon Tae-il Literary Award
  • he life-writings of working class
  • historical writing of working class
  • labor literature
  • labor novels
  • the literacy of working class
  • the writings of the working class
  • “An Age of Distrust”
  • “The Barrier”
  • 「불신시대」
  • 노동문학
  • 노동소설
  • 노동자 리터러시
  • 노동자 역사 쓰기
  • 노동자글쓰기
  • 노동자생활글
  • 장벽
  • 전태일문학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9 0

0.0%

' 노동자 생활글의 노동문학사적 맥락' 의 참고문헌

  • 흔들리는 종교적․문학적 유토피아 : 1970~198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맥락에서 살펴 본 노동자 장편 수기 연구
    배하은 [2019]
  •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한신’(韓神)이 가지는 의미
    김건우 [2014]
  • 한국 여성노동자들이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 포이동 이야기(외)
    [2012]
  • 창작과비평
  • 제도의 해체와 확산, 그리고 문학의 정치 ―1980년대 무크지 운동 재고
    김대성 [2011]
  • 전태일 평전
    조영일 [2009]
  • 의자놀이
    공지영 [2012]
  • 월간 말
  • 우리들 가진 것 비록 적어도
    나보순 [1983]
  • 우리가 우리에게
    김태숙 [1985]
  • 왈왈이들의 합창
    이재관 [1997]
  • 열세 살 여공의 삶: 한 여성 노동자의 자기역사 쓰기
    신순애 [2014]
  • 여성들의 자기 역사 쓰기, 또 하나의 실험 : 유경순 엮음,『나, 여성 노동자』(그린비, 2011)
    김원 [2011]
  • 여공 문학-섹슈얼리티, 폭력 그리고 재현의 문제
  • 실업일기
    [2001]
  • 수행성의 미학을 위한 텍스트의 전략들- 『노동해방문학』을 중심으로 -
    장성규 [2014]
  •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천정환 [2017]
  • 샘이깊은 물
  • 뿌리깊은 나무
  •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한윤수 [1979]
  • 발광생물(외)
    [2015]
  • 민중적 민족문학론의 전개와 문화예술 주체의 문제 : 『문학예술운동』과 『사상문예운동』을 중심으로
    장성규 [2018]
  • 민족민중문학론의 쟁점과 전망
    최원식 [1989]
  • 못다 이룬 꿈도 아름답다
    김영주 [2010]
  • 뜀박질(외)
    [2011]
  • 떡볶이 아줌마의 아픈 하루
    송영애 [2005]
  • 노동의 문학 문학의 새벽
  • 노동문학
    박현채 [1988]
  • 그러나 이제는 어제의 우리가 아니다
    김경숙 [1986]
  •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천정환 [2014]
  • 공장의 불빛
    석정남 [1984]
  • 『특집! 한창기』
    강운구 [2008]
  • ‘전태일’의 이름으로 문학을 한다는 것-1980년대 전태일문학상의 주체와 양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고은 [2019]
  • ‘자기지시적 체계’에서 ‘자기지시Selbstreferenz’란 무엇을 뜻하는가?: 루만의 이론의 한 핵심어에 대하여
    장춘익 [2014]
  • ‘문학 여공’의 글쓰기와 자기 정체화 - 여공 수기와 소설에 나타난 자기 정체화와 문학의 의미 -
    오자은 [2018]
  • [단행본]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
    김원 [2006]
  • Literacy and the Practice of Writing in the 19th Century - A History of the Learning, Uses and Meaning of Writing in 19th Century English Communities
  • <民主>と<愛国>―戦後日本のナショナリズムと公共性
  • 8시간 노동을 위하여
    순점순 [1984]
  • 68. 세계를 바꾼 문화혁명
    오제명 [2006]
  • 1980년대 무크지 운동과 문학장의 변화
    김문주 [2013]
  • 1980년대 논픽션 양식과 소설 개념의 재편 과정 연구
    장성규 [2014]
  • 1980년대 노동자 문집과 서발턴의 자기 재현 전략
    장성규 [2012]
  • 1970년대 논픽션과 소설의 관계 양상 연구 - 『신동아』 논픽션 공모를 중심으로
    김성환 [2011]
  • 1970년대 노동수기와 노동의 의미
    김성환 [2012]
  • 1950년대 ‘기록운동’과 ‘기지일본’의 표상
    서동주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