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관계맺음’의 역동성 탐색: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을 중심으로

최은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관계맺음’의 역동성 탐색: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Making a Relationship
  • free play
  • merleau-ponty
  • 관계맺음
  • 놀이
  • 메를로퐁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92 0

0.0%

'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관계맺음’의 역동성 탐색: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유혜령 [1997]
  • 학급의 사회성 측정법(sociometry)진단을 통해 거부된 아동들의 교우관계 개선 방안 탐색
    권민석 [2007]
  • 투게더
    Richard, S. [2013]
  •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 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가일 [2013]
  •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신은수 [2010]
  •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박선영 [2012]
  • 유아의 권력형성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연구
    김진영 [1999]
  • 유아 생활세계에서의 놀이와 사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손영수 [2001]
  • 영아들이 경험하는 어린이집의 공간성: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중심으로
    최은정 [2019]
  •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우수경 [2013]
  • 어린이집 이용 유아의 사교육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민미희 [2015]
  • 아동기의 실종: 탁아, 유아교육의 실태와 대안
  • 사르트르 vs 메를로퐁티
    강미라 [2018]
  • 비인기아의 또래수용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안연경 [2011]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몸 주체 권력-메를로 퐁티와 푸코의 몸개념
    강미라 [2017]
  • 만 5세 자연반 유아들의 또래관계 변화 탐색: 역동과 역전의 관계
    장정윤 [2018]
  • 만 2세 영아들의 몸을 통한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탐구
    안성숙 [2020]
  • 또래관계 형성과정에서의 외톨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 변 화 탐색
    황소영 [2011]
  • 또래 괴롭힘 공격적 피해, 수동적 피해 및 가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 심리사회적 적응과 언어능력
    신유림 [2011]
  •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김경란 [2006]
  •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자 되기
  •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박은미 [2007]
  •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류의근 [2019]
  • [단행본]지각의 현상학
  • Why triangulate?
  • Why do children involve teachers in their play and leaning?
  • The role of chronic peer adversity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Ladd, G. W. [2003]
  •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arly childhood practice: early tears
    Fumoto, H. [2011]
  • Solitary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Lloyd, B. [2003]
  •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in young children : Development sequences
    Howes, C. [1987]
  • Power and participation : social representation among children in pre-school
    Lofdahl, A. [2006]
  • Peer ha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victimized
  • Child development: an active learning approach
  •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 Bakhtin의 대화주의를 통해 살펴본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시간에 보여지는 ‘함께 놀이하기’의 의미
    장정윤 [2014]
  • A reliable sociometric measure preschool children
  • A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in preschool
  • A cognitive-social learning approach to social skell training with low-status preschool children
    Mize, J.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