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과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

이지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일본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과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Japanese atomic bomb victims
  • collective memory
  • emotion
  • identity
  • pain
  • 감정
  • 고통
  • 일본 원폭피해자
  • 정체성
  • 집합기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79 0

0.0%

' 일본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과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 의 참고문헌

  • 히로시마/나가사키의 기억과 ‘유일 피폭국’의 언설
    권혁태 [2009]
  • 한인원폭피해자문제 관련 연구와 자료 현황
    이지영 [2012]
  • 한·일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 연대와 균열
    이지영 [2017]
  • 전쟁과 홀로코스트의 기념을 통해 본 감정정치 -유럽 박물관의 고통 재현과 집단감정-
    신동규 [2017]
  • 전쟁 고통의 재현과 평화 - 일본 작가들의 평화그림책과 고통의 연대
    문경희 [2017]
  • 일본 우경화, 한일관계 그리고 동아시아: 과거사 갈등과 영토분쟁
    김용복 [2013]
  • 일본 사회의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담론의 고찰
    이지영 [2013]
  • 원폭영화와‘피해자’로서의 일본
    강태웅 [2009]
  • 오에 겐자부로와 히로시마 : 『히로시마 노트(ヒロシマㆍノ―ト)』에 나타나는 피해자 의식에 대하여
    홍진희 [2007]
  • 열정적 정치: 감정과 사회운동
  • 역사와 안보는 분리 가능한가 : 일본의 우경화와 한일관계
    권혁태 [2014]
  • 언어, 감정, 집합행동: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왕배 [2017]
  •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5·18 광주항쟁 팸플릿에 대한 내용분석
    신진욱 [2008]
  • 문명의 충돌
  • 먹거리, 감정, 가족 동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의 경우
    박형신 [2008]
  • 감정의 국제정치이론을 위한 시론: 동아시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의 탐색
    민병원 [2014]
  • 감정의 거시사회학
  •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 공포 감정의 거시사회학
    박형신 [2015]
  • 감정구조와 촛불혁명: 2008년과 2016년
    홍성민 [2017]
  • 朝日新聞デジタル, 木村司, 「沖縄戦とは何か、深く知るためのQ&A
  • 天皇制国家の支配原理
  • 右傾化する日本政治
  • 原爆体験と戦後日本
  • 原爆の記憶ヒロシマ/ナガサキの思想
  • ヒロシマ·ナガサキ死と生の証言: 原爆被害者調査
  • ‘전재민’(戰災民)에서 ‘피폭자’(被爆者)로 일본 원폭피폭자원호의 제도화와 새로운 자격의 범주로서 ‘피폭자’의 의미 구성
    오은정 [2018]
  • ‘감정으로의 전환(Emotional turn)’?-감정사 연구 성과와 전망-
    문수현 [2008]
  • Theorizing State's Emotions
  • The geopolitics of Emotion
  • The Passion of World Politics: Propositions on Emotions and Emotional Relationships
  •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Sara Ahmed [2013]
  • Memory, Trauma and World Politics: Refle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Present
    Duncan Bell [2006]
  • Fear no more: emotions and world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