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산업시설 공간재생을 위한 주민 친화적 공공디자인 계획 특성 연구 -국내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폐 산업시설 공간재생을 위한 주민 친화적 공공디자인 계획 특성 연구 -국내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ublic Design
  • Residents-Friendly
  • Spatial Regeneration
  • abandonedindustrialfacilities
  • publicity
  • 공간 재생
  • 공공 디자인
  • 공공성
  • 주민친화
  • 폐산업시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96 0

0.0%

' 폐 산업시설 공간재생을 위한 주민 친화적 공공디자인 계획 특성 연구 -국내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주민친화적 하천관리를 위한 성과지표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조, 만석 [2020]
  •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세영 [2013]
  • 사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서울역사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영진 [2014]
  •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
    김정후 [2013]
  • 도시침술
  • 도시 공간 문화
    하권찬 [2017]
  • 농촌재난마을 주민친화형 마을환경개선 콘텐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자 [2018]
  • 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정책 현황 연구
    황동호 [2018]
  •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나타난 주민참여형 공공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 대구 삼덕동, 광주 북구, 마산시를 중심으로 -
    박현옥 [2008]
  • 공공디자인으로 대한민국 바꾸기
  • 건축과 도시, 공공성으로 읽다
    이, 영범 [2011]
  • 『도시공공디자인』
    서정렬 [2016]
  • A study of the expansion in the range of definition and meaning of design as expression method on contemporary space renewal
    Jeon, Hanna [2007]
  • A Study on the Visitors'Experience of Cultural Spaces transformed from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its' Effect on the Placeness: focused on Perceived Value and Commitment(Flow) Influences
  • A Study on the Expressed Characteristic of Renewal Design in Contemporary Public Space
  • A Study on the Citizen Participatory Community Park in Busan
  • A Study on embodiment of placeness through spatial experience of architecture-focused on display facility which reflect context of the city after 1980’s
  • A Study on Resident-friendly Community Center Design Technology
    Lee, JungIl [2011]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Townscape Improvement Projects
  •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s for Renewal of Industrial Heritage Centered on Siheung Art&Eco Cube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