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구운몽>의 현대적 가치

강우규 2020년
'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구운몽>의 현대적 가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 구운몽 >
  • Digital Storytelling
  • Reincarnation.
  • Space
  • dream
  • interactivity
  • the cloud dream of the nine
  • 공간
  • 디지털 스토리텔링
  • 상호 작용성
  • 환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90 0

0.0%

'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구운몽>의 현대적 가치' 의 참고문헌

  • 「구운몽」의 서술원리와 이념성
    신재홍 [1990]
  • ?구운몽?의 구조적 특징과 세계상
    이상구 [2004]
  • 현종실록 22권
  • 한국고전소설의 이론Ⅰ
    이상택 [2003]
  • 한국고전소설의 세계
    이상택 [2005]
  •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박지윤 [2013]
  • 컨버전스 컬쳐: 올드 미디어와 뉴 미디어의 충돌
    H. Jenkins [2008]
  • 채트먼의 서사이론― 서사시학의 새로운 영역 ―
    박진 [2003]
  • 주제 파악의 방법과 『구운몽』의 주제
    정병설 [2013]
  • 조선조소설의 구조와 의미
    김일렬 [1984]
  •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의 사회적 성격과 소설사적 위상
    박일용 [1991]
  • 이야기와 담론
    S. Chatman [2003]
  •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
    황혜진 [2017]
  • 오리엔탈리즘
  • 민담 형태론
    어건주 [2013]
  • 몽자류 소설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강지혜 [2011]
  • 디지털미디어 스토리텔링
  • 디지털 맵핑(Mapping)을 통한<구운몽> 연구 및 교육적 활용
    강우규 [2019]
  •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
    전경란 [2003]
  • 동양 異文化의 표상 一夫多妻(polygamy)를 둘러싼 근대 구운몽 읽기의 세 국면 -스콧(Elspet Robertson Keith Scott), 게일(James Scarth Gale), 김태준의 구운몽 읽기-
    이상현 [2007]
  • 대중들과 만난 구운몽
    엄태웅 [2018]
  • 남악 형산, 유불도 인문지리의 공간경계역
    김수연 [2014]
  • 꿈 수행과 문학치료 프로그램
    이강옥 [2013]
  • 국문장편소설의 교육방안 연구-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과 TV 가족드라마의 비교를 바탕으로-
    강우규 [2018]
  •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반란의 공간과 경계의 환상성 - <소현성록> 연작과 <현몽쌍룡기> 연작을 중심으로 -
    강우규 [2016]
  • 구운몽의 역학적 분석
    배영희 [1995]
  • 구운몽에 나타난 對稱的 世界觀16세기국어 부정문 연구
    신태수 [2006]
  • 구운몽도
    정병설 [2010]
  • 구운몽과 금강경 관계 논쟁의 행방
    김일렬 [2000]
  • 구운몽(九雲夢)의 사상적(思想的) 배경(背景) 연구(硏究) -도교사상(道敎思想)을 중심(中心)으로-
    김용덕 [1980]
  • 구운몽 다시 읽기
    정길수 [2010]
  • 구운몽
    정병설 [2013]
  •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양상과 수용 의미
    경일남 [2014]
  • 고소설과 이야기 문학의 미래
    김탁환 [2004]
  • 『구운몽』의 형식과 주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강상순 [2001]
  • <구운몽>의 현재적 소통과 다시쓰기 출판물
    권혁래 [2011]
  • <구운몽>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연구-한승원의 <꿈>을 중심으로-
    심치열 [2003]
  • <구운몽>의 수용 양상 연구
    서경희 [2003]
  • <구운몽>과 『주역』 복괘의 관련 양상
    신재홍 [2018]
  • <九雲夢>의 문학지리학적 해석
    이강엽 [2006]
  •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최기숙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