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개정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활용한 고려시대 사료학습 방안

문경호 2020년
'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활용한 고려시대 사료학습 방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 Key Learning Elements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 고려시대사
  • 사료 학습
  • 사료학습 유형
  • 학습 요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11 0

0.0%

'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활용한 고려시대 사료학습 방안' 의 참고문헌

  • 해외 연구동향 : 중국학계의 고려시대사 연구동향
    정홍영 [2015]
  • 한국고대사 사료를 활용한 한국사 수업에서의 사료학습 - 백제 좌관대식기를 중심으로 -
    전덕재 [2020]
  •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 중학교 역사 1
    이병인 [2020]
  • 중학교 역사
    김덕수 [2020]
  • 중학교 역사
    김태웅 [2020]
  • 중학교 역사
    김형종 [2020]
  • 중학교 역사
    노대환 [2020]
  • 중학교 역사
    박근칠 [2020]
  •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이미미 [2017]
  • 조선왕조의 기원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고동환 [2005]
  • 역사교육의 이해
    정선영 [2002]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최상훈 [2015]
  • 서평 :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310쪽
    이익주 [2001]
  • 새로쓴 오백년 고려사
    박종기 [2010]
  • 사회과 교육과정
  •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서술
    김한종 [2013]
  • 동사강목의 탄생
    박종기 [2017]
  • 교과서의 고려시대 사회사 쟁점 연구
    강은경 [2017]
  • 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박진동 [2018]
  •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권순형 [2006]
  • 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
    채웅석 [2019]
  •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계승인가, 단절인가-
    정요근 [2019]
  • 고려시대의 전쟁, 전염병과 인구
    김순자 [2007]
  • 고려사의 재발견
    박종기 [2015]
  • 고려국가와 집단의식: 자위공동체, 삼국유민, 삼한일통, 해동천자의 천하
    노명호 [2009]
  • 고려 충선왕의 정치개혁과 元의 영향
    이강한 [2008]
  • 고려 충선왕의 국정 및 ‘구제’ 복원
    李康漢 [2008]
  • 고등학생의 사료이해 양상
    최상훈 [2006]
  • 고등학교 한국사
    노대환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송호정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전덕재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최병택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최준채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도면회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박중현 [2020]
  • 고등학교 한국사
    한철호 [2020]
  •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고문서 사료학습
    김두헌 [2011]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사료 활용 방식의 특징과 문제점
    김성자 [2015]
  • 高麗時代 婚姻制度 연구
    權純馨 [1997]
  • 高麗 郡縣制의 운영원리와 主縣-屬縣 領屬關係의 성격
    윤경진 [2001]
  • 高麗 忠宣王代 政治運營과 政治勢力 動向
    박재우 [1993]
  • 蘇軾 高麗 관련 논설의 譯註(3)
    이근명 [2017]
  • 根本佛敎 女性成佛論
    조용길 [2005]
  • 東國李相國集
  • 朝鮮時代의 人口規模推計(Ⅰ)
    李永九 [1987]
  • 新資料를 통해 본 충선왕의 在元活動
    장동익 [1999]
  • 宋史
  • 三別抄 對蒙抗爭의 주도층과 그 의미
    金日宇 [2004]
  • 『역사교육의 이론』
    양호환 [2009]
  • 『高麗史』
  •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김한종 [2013]
  •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 학습 전략」
    강선주 [2013]
  • 21세기에 다시보는 고려시대의 역사
  • 14세기 민의 동향과 ‘개혁정치’ 충선왕 즉위년(1298) 개혁정치의 성격
    이익주 [1992]
  • (새로 쓴) 오백년 고려사 : 역사학자 박종기의 정통 고려 역사
    박종기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