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과 문화재 교육, ‘민족’을 위한 연합에서 ‘민족’의 탈각,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으로

강선주 2020년
' 역사교육과 문화재 교육, ‘민족’을 위한 연합에서 ‘민족’의 탈각,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istory education
  • cultural property
  • heritage
  • heritage studies
  • historical thinking
  • nationalism
  • 국가주의
  • 문화유산교육
  • 문화재 교육
  • 역사교육
  • 역사적 사고
  • 유산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55 0

0.0%

' 역사교육과 문화재 교육, ‘민족’을 위한 연합에서 ‘민족’의 탈각, 역사와 문화재의 구분으로' 의 참고문헌

  • 歷史敎育과 歷史意識
    강우철 [1978]
  • 향토사 교육의 현황
    이병희 [2002]
  • 한국의 역사인식 하
    김용섭 [1975]
  • 하회탈춤 전통의 재창조와 안동문화의 이미지 변화
    조정현 [2005]
  •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
    오인택 [2014]
  • 초등학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화재와 그 이유
    정미란 [2016]
  • 초등학교 교육과정
  • 초등 사회과교육 60년: 변천과 전망
    최용규 [2005]
  • 초·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최용규 [2006]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중학교 교육과정
  •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
    장신 [2016]
  • 주체의식과 역사교육
    최재희 [1971]
  • 조선시대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박평식 [2013]
  • 제주유배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고범석 [2005]
  • 제3차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과 국사교과서 개편
    조성운 [2018]
  • 제3절 국사과, 중학교 교육과정
  • 일제시기 문화재보호법의 ‘중점보호주의’와 ‘포괄적 법제’에 관하여
    유승훈 [2003]
  • 유네스코와유산
  • 오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역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도한 [2011]
  • 역사적 사고력 伸張을 위한 중등 역사수업의 문화재 교육
    전영준 [2018]
  • 역사의 교육
    강우철 [1974]
  • 역사교육자료로서 문화재 활용
    박명혜 [1989]
  • 역사교육의 추이
    강우철 [1971]
  • 역사교육과 문화유산의 전승
    신유아 [2017]
  • 역사교육계의 역사의식 이론과 학생들의 역사의식 조사 연구에 대한 검토
    강선주 [2013]
  • 역사교육 소재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교육적 활용 방향 - 고등학생 대상 문화유산 교육 사례를 통해 -
    류호철 [2016]
  • 상상적 접근 질문을 통한 문화재 교육 방안: 중학교 역사교과서 문화재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박상혜 [2018]
  • 사회과 교육과정의 새로운 전망
    한면희 [1979]
  • 사회 4-2
  • 사관: 서술체제의 검토」 특집: 국사 교과서의 제문제
    강만길 [1974]
  • 불교문화재를 활용한 지역사 학습 방안
    정덕용 [2009]
  • 박정희정권기 역사교육학계의 민족주체성 인식과 국사교육 강화
    이봉규 [2017]
  •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정책과 민속신앙 -국사당과 밤섬부군당을 중심으로-
    정유진 [2012]
  •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관한 연구
    장영민 [2007]
  • 박정희 정권의 '호국 영웅 만들기'와 전통문화유산정책
    전재호 [2012]
  • 박정희 시대 성역화사업의 추이와 성격
    은정태 [2005]
  • 민족사와 역사의식
    김용덕 [1972]
  • 문화재활용 가이드북
  •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판
    이현경 [2019]
  • 문화재보호법과 그 문제점
    오세탁 [1997]
  • 문화재보호법, [시행 2019년 12월 25일] [법률 제16057호, 2018년 12월 24일, 일부개정]
  •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
    최종호 [2011]
  • 문화재
  •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연구 -한국 근현대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조예진 [2014]
  • 문화유산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부상
    김용구 [2018]
  • 문화유산
  •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2013]
  •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그 역사성의 재고
    정수진 [2004]
  • 맥락적 이해를 통한 문화재 교육 방안 - 중학교 역사 교과서 문화재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
    박상혜 [2018]
  • 만들어진 전통
  • 만들어진 전통
    박지향 [2004]
  • 근대 국민국가와 문화재의 창출
    정수진 [2007]
  • 국사교육의 강화방침과 국민학교 국사교육
    최완기 [1976]
  • 국사교육에 있어서 향토사 교재의 지도 방안
    송춘영 [1990]
  • 국사교육과 가치목표
    이존희 [1974]
  • 국사교육강화정책
    윤종영 [2001]
  •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이신철 [2006]
  • 국사 교과서 문화재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교과서 서술의 방향
    이해영 [2011]
  • 국민학교 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운영과 향토사교육
    조상제 [1989]
  • 공동체적인 삶과 ‘유산’(Heritage)의 의미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 제주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백영경 [2019]
  • 고등학교 국사수업에서 세계문화유산 활용 방안 모색 : 공주와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이예선 [2009]
  • 韓國史와 歷史意識
    윤병석 [1978]
  •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김원 [2012]
  • ‘불편문화유산(difficult heritage)’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한 고찰
    이현경 [2018]
  • Heritage Pasts and Heritage Presents; Temporality, Meaning and Scope of Heritage Studies
  • Fabricating Heritage
  • Dissonant Heritage: The Management of the Past as a Resource in Conflict
  • 1989~80년도 한국 사학계의 회고와 전망
    이우성 [1971]
  •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김주현 [2006]
  • 1960~19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오명석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