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곳에서 온 사람-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함의 -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와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김애란의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를 중심으로 -

오윤주 2020년
' 먼 곳에서 온 사람-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함의 -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와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김애란의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를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oi Eun-young
  • Hospitality
  • Kim Yeon-soo
  • Liquid Moernity
  • Literature Education
  • Stranger Narratives
  • Strangers
  • kimaeran
  • 김애란
  • 김연수
  • 문학교육
  • 유동하는 근대
  • 이방인
  • 이방인 서사
  • 최은영
  • 환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23 0

0.0%

' 먼 곳에서 온 사람-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함의 -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와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김애란의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를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환대에 대하여
    Derrida, J. [2004]
  • 정치적 감정
  • 인간성 수업
  • 이방인의 사회학
    김광기 [2014]
  • 이방인, 신, 괴물
    이지영 [2004]
  • 윤리학
    Badiou, A. [2001]
  • 우리는 이방인-이웃을 사랑할 수 있을까? - 최근 한국소설 속의 이방인-이웃들 -
    유보선 [2015]
  • 외국인 이주자의 형상화와 우리 안의 타자담론
    오윤호 [2010]
  • 시적 정의–문학적 상상력과 공적인 삶
  • 시간과 타자
    Levinas, E. [2014]
  • 쇼코의 미소
    최은영 [2016]
  • 상호문화성 형성을 위한 다문화 소설교육- 박범신 장편소설 『나마스테』를 중심으로
    류동규 [2017]
  • 비행운
    김애란 [2012]
  • 모두스 비벤디-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Bauman, Z. [2015]
  • 다문화시대 고전으로서 짐멜의 이방인 새로 읽기: 새로운 역사적 이민연구의 단초
    이용일 [2009]
  • 다문화 소설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김지혜 [2019]
  •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환대와 교육의 문제
    김지혜 [2014]
  •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이미림 [2016]
  • 다문화 문식성 함양을 위한 소설교육 연구 - 공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김지혜 [2019]
  • 다문화 문식성 제고를 위한 읽기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권순희 [2008]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연구
    김미혜 [2013]
  •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를 통한 다문화 감수성 발달 교육 내용 연구 - 일인칭 서술자의 비판적 읽기를 통한 자문화 중심주의 성찰 가능성을 중심으로 -
    김지혜 [2019]
  • 관용과 환대, 그리고 이방인: 하버마스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김광기 [2012]
  • 게오르그 짐멜의 이방인 이론과 상호문화
    김태원 [2017]
  • ‘다름’을 넘어서기 위한 입사의례 - 「욕쟁이 함경도 아즈망」의 장소성과 입사서사를 중심으로 -
    서형범 [2017]
  • [단행본]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2009]
  • 2000년대 다문화 소설 연구: 한국인과 이주민의 관계양상을 중심으로
    이경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