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양상에 대한 고찰

박수민 2020년
'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양상에 대한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text
  • Critical literacy
  • Discourse analysis
  • Literature education
  • Reconceptualization
  • ideology
  • korean-languageeducation
  • 국어교육
  • 담론분석
  • 맥락
  • 문학교육
  • 비판적 문식성
  • 이데올로기
  • 재개념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92 0

0.0%

'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양상에 대한 고찰' 의 참고문헌

  • 한국 현대시교육의 담론분석 : 1940년대 ‘저항시’를 중심으로
    崔志鉉 [1994]
  •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김혜정 [2002]
  • 지식교육으로서 문학사 교육에 관한 연구―미군정기 민족문학론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김성진 [1999]
  •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도정일 [1994]
  • 시문학의 이데올로기와 교육
    윤여탁 [1990]
  • 소설을 통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김향연 [2019]
  • 사회적 독서와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고찰
    천경록 [2014]
  • 비평적 주체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 : 최재서의 경우를 중심으로
    안수진 [1999]
  • 비평교육에 대한 일 고찰 : ‘낙동강’ 논의를 중심으로
    임경순 [1997]
  •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Seewha, Cho [2014]
  •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 미디어 분석과 자아 표현, 기능 훈련의사례 연구
    정현선 [2007]
  •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
    정재찬 [2003]
  • 문학교육과 문식성 신장
    이재기 [2009]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2014]
  •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쟁점 탐구
    정혜승 [2008]
  • 문식성 교육 담론과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
    이재기 [2005]
  • 맥락 중심 문학교육학과 비판적 문학교육
    임주탁 [2013]
  •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 국어과 교과서에서의 비판적 문식성 수용 양상
    이재형 [2011]
  • 교사는 지성인이다
  •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이순영 [2010]
  • ‘비판적 읽기' 범주 설정 및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권이은 [2011]
  • Newark
  • (30주년 기념판)페다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