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미시(론)의 기원에 대한 재고 - 관념과 역사(이데올로기)의 공통 토대로서 재현적 사유

윤지영 2020년
' 무의미시(론)의 기원에 대한 재고 - 관념과 역사(이데올로기)의 공통 토대로서 재현적 사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unsu
  • deleuze
  • difference
  • history
  • idea
  • ideology
  • kim
  • nonsense poem and poetics
  • representative thought
  • thought image
  • 관념
  • 김춘수
  • 들뢰즈
  • 무의미시(론)
  • 사유의 이미지
  • 역사
  • 이데올로기
  • 재현적 사유
  • 차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72 0

0.0%

' 무의미시(론)의 기원에 대한 재고 - 관념과 역사(이데올로기)의 공통 토대로서 재현적 사유' 의 참고문헌

  • 천 개의 고원
  • 질 들뢰즈
  • 역사의 해체주의에 대한 비판과 상찰
    조한욱 [1999]
  • 물(物)자체에 이르는 도정으로서의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연구
    김윤정 [2015]
  • 무의미시론과 시쓰기의 자의식
    남기혁 [2004]
  • 들뢰즈 커넥션
    김재인 [2005]
  • 김춘수의 무의미시의 의미
    장도준 [2019]
  •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비판과 시의 타자성
    김예리 [2012]
  • 김춘수 전집: 수필 3
  • 김춘수 전집 2
    김춘수 [1986]
  • 김춘수 시의 변화에서 역사와 사회가 지니는 의미 연구
    전병준 [2013]
  • 김춘수 시론 전집 2
    김춘수 [2004]
  • 김춘수 문학앨범
    김춘수 [1995]
  • 『차이와 타자』
    서동욱 [2000]
  • ‘반(反)재현’의 불가능성과 ‘무의미시론’의 전략
    조연정 [2014]
  •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情動)과 이미지의 정치학(2) - 김춘수의 경우 -
    조강석 [2018]